전문대에서도 4년제 대학과 동등한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전공심화과정이 수험생과 학부모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이 과정을 이수하면 대학원 진학은 물론, 취업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문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2008년 첫 도입됐다. 2012학년도엔 전국 89개 전문대 326개 모집단위에서 9천545명을 선발한다. 이는 올해 전국 전문대 총 입학정원인 26만5천368명의 3.6%에 해당한다.
대구·경북지역에선 계명문화대, 대구과학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가톨릭상지대, 경북전문대, 구미1대학, 대구미래대, 대경대, 문경대, 선린대, 안동과학대, 포항대 등 13곳에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입학자격은 전문대 재학 중 또는 졸업 후에 동일계열 유관 분야 산업체에서 1년 이상 재직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 직업 현장에 근무하면서 겪은 문제들을 이론과 접목해 해결하거나, 심화된 교육을 통해 자신의 직무능력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학생에게 제격이다.
동일계열이 아닐 경우 전공심화과정 학과의 관련학점을 50% 이상 이수하면 계열(학과) 관련성으로 인정하고 있다.
2년제는 2년, 3년제는 1년 이상의 수업연한 과정에서 기존 전문대 졸업학점을 포함해 총 140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2012학년도부턴 산업체 경력이 없어도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했다. 전문대 졸업 후 곧바로 학사 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교과부 전문대학과 김수정 사무관은 “상당수 전문대에서 산업체 경력이 필요 없는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인가를 신청해 조만간 대상 대학(학과)이 발표될 예정”이라며 “직업 교육과 함께 대학 수준의 정규 교육을 원하는 학생에겐 전문대가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의 교육과정은 재학생의 취업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재학 기간 중 다양한 공모전 응모는 물론, 각종 수익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때문에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하는 학과 중 상당수는 일반학과에 비해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들 학과 대부분은 해당 대학별 주력학과로 구성돼 대학 측으로부터 다양한 지원과 집중적인 관리를 받는다.
전통적으로 취업에 강한 간호학과, 치위생학과, 유아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건축·토목학과, 호텔경영·조리학과 등과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컴퓨터공학과, 기계공학과, 토지정보학과, 측지정보학과 등에서 이 과정을 두고 있다.
또 최근엔 만화창작학과, 애니메이션학과, 전통조리학과, 이벤트연출학과 등 특색 있는 학과도 이 과정을 속속 도입하는 추세다.
등록금 감면혜택도 눈에 띈다.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도 타 학과에 비해 약 15% 정도 낮게 등록금이 책정돼 있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 4년제 대학 학사학위과정과 차별화되는 것은 ‘현장’과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현장의 사례와 이론이 접목된 심화과정을 통해 수준 높은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다.
전문대 졸업 후 바로 대학원 진학이 불가능하지만, 이 과정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받으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각 대학과 학과별로 모집정원과 수업연한이 제각각이어서 지원하기 전 모집요강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입학정보는 각 대학 홈페이지나 해당 대학 입학관련 부서에 문의하면 얻을 수 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 2012 정시 대학이상 졸업자 특별전형 실시 전문대 | |||
반영 유형별 | 반영비율 | 학교수 | 해당학교 |
전적대학성적 | 전적대학성적 100 | 78 | 가톨릭상지대학, 강릉영동대학, 강원도립대학, 경민대학, 경북과학대학, 경북전문대학, 경산1대학, 경인여자대학, 고구려대학(구,나주대학), 광주보건대학, 구미1대학, 군산간호대학, 군장대학, 극동정보대학, 기독간호대학, 김천과학대학, 대구공업대학, 대구과학대학, 대구보건대학, 대구산업정보대학, 대덕대학, 대동대학, 대림대학, 대전보건대학, 동강대학, 동남보건대학, 동아방송예술대학, 동아인재대학, 동우대학, 동의과학대학, 동주대학, 두원공과대학, 마산대학, 명지전문대학, 목포과학대학, 문경대학, 배화여자대학, 부산여자대학, 부산예술대학, 부천대학, 서일대학, 서정대학, 서해대학, 선린대학, 세경대학, 송원대학, 수원과학대학, 수원여자대학, 순천제일대학, 숭의여자대학, 신구대학, 신흥대학, 안산1대학, 안양과학대학, 양산대학, 여주대학, 영남외국어대학, 영남이공대학, 웅지세무대학, 원광보건대학, 유한대학, 전남과학대학, 전남도립대학, 전북과학대학, 제주관광대학, 제주산업정보대학, 조선간호대학, 조선이공대학, 창신대학, 창원전문대학, 천안연암대학, 충청대학, 한국관광대학, 한림성심대학, 한양여자대학, 한영대학, 혜전대학, 혜천대학 |
전적대학성적 + 면접 | 전적대학성적 83.3 + 면접 16.7 | 1 | 영진전문대학 |
전적대학성적 80 + 면접 20 | 4 | 계명문화대학, 서라벌대학, 울산과학대학, 진주보건대학 | |
전적대학성적 70 + 면접 30 | 2 | 삼육보건대학, 서울여자간호대학 | |
전적대학성적 60 + 면접 40 | 2 | 서강정보대학, 적십자간호대학 | |
전적대학성적 50 + 면접 50 | 6 |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복대학, 대원대학, 안동과학대학, 청암대학, 한국승강기대학 | |
전적대학성적 30 + 면접 70 | 1 | 한국재활복지대학 | |
전적대학성적 + 실기 | 전적대학성적 50 + 실기 50 | 1 | 백제예술대학 |
전적대학성적 + 기타 | 전적대학성적 40 + 기타 60 | 1 | 농협대학 |
학생부 + 면접 | 학생부 70 + 면접 30 | 1 | 성덕대학 |
면접 | 면접 100 | 1 | 벽성대학 |
면접 + 서류 | 면접 50 + 서류 50 | 1 | 춘해보건대학 |
서류 | 서류 100 | 3 | 국제대학, 김포대학, 동부산대학 |
실기 | 실기 100 | 1 | 서울예술대학 |
기타 | 기타 100 | 1 | 동서울대학 |
합 계 | 104 | ||
※고딕은 대구·경북지역 대학 <자료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
진식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