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흡연 학생·자원봉사자 뽑는 이색 전형도

  • 진식
  • |
  • 입력 2011-12-19  |  수정 2011-12-19 07:39  |  발행일 2011-12-19 제15면
수험생이 알아야 할 사항 Q&A

전문대도 4년제 대학 못지 않게 입시체계가 복잡·다양하다. 때문에 입시정보를 꿰뚫고 있어야 자신에게 유리한 학과 선택 등 성공적인 입시 전략을 짜는데 도움이 된다. 전문대에 진학하려는 수험생이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해 Q&A를 통해 정리했다.


118개 대학 자연계열

수리 가·나 자유선택 가능

학생부 실질반영률

대학·모집시기-단위별 달라

반드시 확인하고 지원해야


Q. 학생부 성적은 어떻게 반영하나.

A. 대학들은 학생부 점수산출 활용지표로 석차등급, 원점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등을 활용한다.

많은 대학에서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를 활용한다. 즉, 원점수를 바탕으로 한 표준점수를 산출해 적용하는 것이다. 표준점수는 과목별 원점수를 일정 기준에 따라 변화시켜 수험생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므로 다른 학생의 점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원점수는 대학별 자체기준에 따라 일정 구간별로 점수화해 적용한다.

석차등급은 9등급으로 나눠 표기되며 대학별 자체기준에 따라 등급을 점수화한다.

석차등급과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를 혼합 활용하는 대학은 각각의 점수를 구한 다음, 대학별 자체 기준에 따라 교과 성적을 산출한다. 해당 대학의 혼합 비율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

Q. 학생부 실질반영률이란.

A. 모든 전형요소의 반영률에서 학생부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예컨대, 전형총점 1천점 중 학생부성적 500점(기본점수 350점), 수능성적 400점(100점), 논술 100점(80점)을 반영할 경우, 학생부 실질반영률은 각 전형요소별 기본점수를 뺀 점수의 합에서 학생부성적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 31.9%가 된다.

학생부 실질반영률은 대학, 모집시기, 모집단위별로 다르다. 수험생은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학생부 실질반영률을 반드시 확인하고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Q. 자연계 학생이 수능 수리 나형, 사탐 선택 가능하나.

A. 가능하다. ‘수리 가형과 사회탐구’ ‘수리 나형과 사탐’ 등 어떻게 선택해도 자연계열로 진학할 수 있다. 2012학년도 입시에선 118개의 대학이 수리 가형과 나형을 자유 선택으로 반영하며, 103개 대학은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을 구분 없이 반영한다.

Q. 전문대도 군별 모집하나.

A. 전문대 정시모집은 4년제 대학(가·나·다군)처럼 군을 구별하지 않는다. 때문에 수시모집 때처럼 필요한 만큼 지원할 수 있다. 산업대 역시 무제한 지원 가능하다.

Q. 비교내신이란.

A. 학생부 성적을 산출할 수 없는 지원자, 즉 검정고시 출신자와 고교를 졸업하고 일정기간 이상 경과된 수험생 등을 대상으로 적용하는 내신을 말한다. 각 대학은 수능 성적, 검정고시 성적, 논술고사 성적 등을 토대로 한 자체 기준에 따라 학생부 성적을 산출한다.

Q. 이색 전형은.

A. 남학생만 모집하는 특별 전형이 있다. 간호에 소질이 있는 남학생, 유아교육(보육), 아동복지에 관심 있는 남학생, 미용·조리 등에 남다른 재능을 가진 남학생을 대상으로 선발한다. 임원 활동(리더십)과 봉사활동 실적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도 있다.

학생회 및 동아리 간부로 활동했거나 동호회에서 특별한 활동 경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도전해볼 만하다.

대구·경북지역에선 대경대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약물남용 및 흡연을 하지 않기로 서약한 학생을 선발한다. 또 구미1대학, 대경대, 대구보건대가 대구지하철참사 유가족 전형을 실시한다. 대구산업정보대는 독도관련 각종행사 참가 경험자 또는 활동자를, 경산1대학·구미1대학·대경대·대구미래대는 행사 자원봉사자 및 축제도우미 참가자를 뽑는다.

개인홈페이지 및 인터넷카페 운영자 전형을 둔 구미1대학, 대경대, 대구미래대도 주목된다.

Q. 입시와 진로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A. 우선 대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입학정보센터(ipsi.kcce.or.kr)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진학정보센터(univ.kcue.or.kr) 등이 있고, 진로 정보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www.careernet.re.kr)과 한국고용정보원(know.work.go.kr) 등에서 파악할 수 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 자료제공=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기자 이미지

진식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