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시론] 대구경북특별자치도

  • 김기억
  • |
  • 입력 2020-01-29   |  발행일 2020-01-29 제31면   |  수정 2020-01-29

2020012801001075100044481

'2022년 6월 지방선거 일. 초대 대구경북특별자치도 도지사가 선출된다.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인구는 물론, 경제 규모도셋째인 대구경북특별자치도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리는 날이다.그동안 가장 많은 대통령을 배출했음에도 정치적·경제적으로 변방에 머물던 대구경북이 옛 영광을 되찾는 날이기도 하다.대구경북 출신 국회의원들이 선거때마다 개혁의 대상이 되는 흑역사에서도 벗어나게 됐다.위상에 걸맞게 대구경북특별자치도지사는 서울시장과 함께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다. 도지사는 서울시장과 유력한 차기 대권 후보로 거론된다.'

올해 최대 화두는 통합이다.야권의 보수 통합도 진행 중이지만, 지역에서는 단연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그 중심에 있다. 서두에 거론한 내용은 통합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맞이하게 될 대구경북의 미래상이다. '대구경북특별자치도'는 대구경북연구원 행정통합연구단이 만든 통합 대구경북의 새로운 명칭이다.

대구경북 통합 논의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첫 통합 논의는 20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학총장, 언론계, 경제계 주요 인사가 참여한 대구경북통합준비위원회가 발족됐다. 2006년에는 대구경북 경제통합 포럼이 출범했다. 그동안 경제 통합 부문은 어느 정도 진척되기도 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 했다. 행정통합의 필요성은 인정됐지만, 시장·도지사의 이해 관계가 맞물리면서 한발짝도 떼지 못했다. 이번 행정통합 논의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권영진 대구시장의 '의기투합'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과거와는 차원을 달리한다. 과반의 시도민의 행정 통합 찬성 여론 조사 결과도 나왔다.영남일보가 시도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 결과 50.6%가 통합에 찬성했다. 반대는 24.3%에 그쳤다. 통합의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얘기다.

통합을 위한 준비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통합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대구경북연구원은 2월말까지 기본 구상을 마무리하고, 3월말까지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을 만들 계획이다. 오는 4월 총선때 특별법 제정을 후보자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할 작정이다. 더 나아가 중앙당 차원의 지역 공약으로 내세우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2~4월까지는 특별법 제정을 마무리한다는 복안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시도민을 대상으로 한 행정통합에 대한 의견 수렴과 공론화 과정도 준비하고 있다.

통합은 세계적 흐름이기도 하다. 프랑스는 2016년 22개 리전(광역)을 13개 리전으로 통합했다. 동일권내 기관의 중복설치 등 비효율적 문제를 개선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다. 일본은 오사카시와 오사카부를 하나의 오사카부로 통합했다. 저출산과 고령화, 인구 감소에 따른 사회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대구경북도 사정은 비슷하다.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경쟁력도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 대구는 2만3천738명, 경북은 1만995명이 줄었다. 2018년 기준 지역총생산(GRDP)은 경북은 2017년부터 충남에도 밀려 5위로 떨어졌고, 대구는 11위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대구의 1인당 GRDP는 1992년부터 27년째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이 같은 대구경북의 위상 추락은 통합의 당위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대구시민 82.9%가 대구경북 (대구 53.9%,경북 29%) 출신이다. 부산시민은 부·울·경 출신이 76.4%, 대전시민은 대전·충남·세종 출신이 61.4%다. 대구경북이 다른 지역에 비해 한 뿌리 역사가 강한 생활공동체 임을 반증하고 있다. 분리로 겪은 시련을 통합으로 치유해야 할 때가 됐다. 통합은 이제 멈출 수 없는 거대한 물줄기다. 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인구 510만명의 대구경북특별자치도 도지사를 뽑기를 기대한다.

김기억 (경북본사 총괄국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