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부터 대구시가 직영 전기차충전소의 요금을 유료화한데 이어 지난 13일부터 요금을 47%나 인상하면서 지난해까지 줄을 서 기다리던 대구시 직영 충전소의 빈자리가 늘어나고 있다. 손동욱기자 dingdong@yeongnam.com |
'전기차 선도도시'에 3년 연속 선정된 대구시가 충전요금 인상 등 악재를 만나며 그 명성을 잃어가고 있다. 대구시 정책에 따라 전기차를 구매했던 시민들은 전기차 관련 혜택 축소에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시민들이 가장 불만을 가진 이유는 급격한 충전요금 인상이다. 그동안 대구시는 탄소배출량 규제 강화와 미세먼지 대책 등을 위해 전기차 보급 확대에 힘써왔다. 실제 2016년부터 전기차 200대 보급을 시작으로 2019년에는 4천653대를 보급, 누적 1만대를 돌파(1만1천660대)해 특별·광역시 중 인구수 대비 전기자동차 등록비율 1위를 차지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시는 올해부터 전기차 운전자들이 무료로 이용했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전면 유료화했다. 시는 지난 1월부터 환경부 충전요금인 173.8원(1㎾h 기준)을 적용해 대구시 직영 충전기 233기를 모두 유료화했다. 그동안 민간 충전기는 각자 정해진 요금을 받았지만 대구시는 직접 운영·관리하는 충전기에 한해 이용객에게 충전요금을 받지 않았던 탓에 일부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평이 나왔다.
여기에 더해 최근 환경부가 전기차 급속충전기 충전요금을 255.7원(1㎾h)으로 인상하면서 시의 충전요금 역시 유료화 7개월 만인 지난 13일부터 47%나 인상됐다.
실제 요금이 인상되면서 시가 운영하는 충전기 이용률은 급감하고 있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민들의 충전소 이용 횟수는 2016년 8천273회, 2018년 1만9천175회, 2019년 2만9천934회로 꾸준하게 증가하다가 올해 유료화가 시행되면서 1만1천110회로 63%나 감소했다. 충전량 역시 2016년 113㎿, 2018년 299㎿, 2019년 586㎿까지 증가하다가 올해 199㎿까지 줄어든(66%↓) 것으로 나타났다.
점차 축소되는 전기차 구입 보조금 역시 시의 전기차 선도정책을 막는 장애물이다. 시에 따르면 올해 대구에서 전기차를 구입할 경우 승용차 기준으로 1천320만원이 보조된다. 지원금은 국비 800만원, 시비 500만원으로 충당된다. 전기차 구입 보조금은 2016년에는 2천만원에 달했다. 이후 2017년 1천800만원, 2019년 1천500만원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1년 전에 전기차를 구입한 김모(53)씨는 "아무리 충전요금이 저렴하다고 하지만 짧은 기간 급격한 인상이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전기차 가격이 일반 차량에 비해 비싼 만큼 보조금 축소, 충전비 인상 등은 전기차 구입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정부의 저탄소 배출 정책에도 역행하게 되는 셈"이라고 우려했다.
대구시는 전기차 사업의 확대를 위해 다수의 충전소가 필요한 만큼 민간 충전소 확대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조치라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연이은 충전요금 인상에 시민들이 불편함을 느낀 점은 이해한다"며 "시에서 무료로 충전을 제공했던 부분은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이 정책은 사설충전소의 진입을 막아 오히려 장기적으로 전기차 보급을 막는 사태를 불러왔다. 계속해서 충전기를 시에서 보급할 수 없기 때문에 충전기 시장을 민간 쪽에서 주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손동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