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 조사 결과 <자료: 전국경제인연합> |
국내 수도권 기업 10곳 중 9곳은 지방 이전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을 검토할 경우 대구경북을 희망한 기업도 11.3%에 그쳤다. 교통·물류 인프라 부족과 인력난이 지방 이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인식했다. 대기업 등 수도권 기업 유치에 사활을 거는 대구·경북으로선 높은 현실의 벽을 실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
지방 이전 때 장애 요인으로 '교통·물류'(23.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기존 직원의 퇴사 등 인력확보 애로(21.1%) △규제(12.3%) △사업장 부지 확보(12.1%)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 이전에 필요한 인센티브로는 △교통·물류 인프라 지원(22.8%) △인력 확보 지원(18.6%) △세제 혜택 및 설비투자 지원(14.5%) △규제 및 제도 개선(12.9%) △사업장 부지 제공(12.1%) 순으로 조사됐다.
![]() |
이미지와 기사는 관계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교통·물류 인프라와 인력 문제가 지방 이전의 가장 큰 장애물"이라며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교통·물류 애로, 인력 확보 애로 등 지방 이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어지도록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