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계청 제공> |
외환위기 이후 24년여 만에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기록했다. 지난 3월(4.1%)과 4월(4.8%) 4%대를 기록했던 물가 상승률이 5월(5.4%) 5%대에 이어 6%대로 올라선 것. 지역별로는 경북이 7.2%로 7%대를 기록했고, 대구는 6.1%로 집계됐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6.22(2020=100)로 지난해 동월 대비 6.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였던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 및 코로나19일상 회복으로 에너지·원자재 가격과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이 오르고,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공업제품과 서비스가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석유류(39.6%)와 가공식품(7.9%)을 비롯한 공업제품이 1년 전보다 9.3% 올랐고, 농축수산물은 축산물(10.3%)과 채소류(6.0%)를 중심으로 4.8%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도 지난 4∼5월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되면서 1년 전보다 9.6% 올랐다. 개인서비스는 외식(8.0%)과 외식 외(4.2%)가 모두 올라 5.8% 증가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7.4% 올라 1998년 11월(10.4%) 이후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4%로 2009년 3월(4.5%)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류 및 개인서비스 채소 등 가격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상승 폭이 전월에 비해 0.6%포인트 상승했다"며 "지금 추세라면 (물가 상승률이) 계속 6%대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