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 출입시스템 도입…일선 구·군청 자체 방호 시스템 도입 '딜레마'

  • 이남영
  • |
  • 입력 2022-07-07  |  수정 2022-07-06 19:29  |  발행일 2022-07-07 제8면
대구시청 출입시스템 도입…일선 구·군청 자체 방호 시스템 도입 딜레마
대구 중구 동인동 대구시청사 뒷편 통로에 출입 관리 시스템 안내판이 부착돼 있다. 이남영기자

대구시가 동인동 청사와 산격동 청사에 출입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일선 구·군청이 출입 관리시스템 도입 여부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대구시는 청사 건물 방호 등을 이유로 지난 4월 말부터 청사 출입자들에게 방문증을 교부하는 등 내부 출입에 대한 방호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일선 구·군청에서도 출입 관리 시스템 도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영남일보 취재진이 지난 5일 대구 8개 구·군에 민원인 출입 관리 시스템 도입 여부를 확인한 결과, 모든 구·군에서 현재로선 출입 관리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입 관리 시스템을 곧바로 도입하지 못하는 이유로 인력 부족과 예산 부담 등을 들었다. 우선 구·군청 내부에는 매일 민원인들이 드나들어 매번 출입증 교부를 위한 직원 배치와 체계 정립이 어렵다는 것이다. 게다가 대구시가 출입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1억 원의 예산을 사용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자체 예산으로 시스템을 도입하기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또 일부에선 출입 관리 시스템 도입에 대한 반대 여론도 적지 않아 설치가 조심스럽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대구지역 한 지자체 관계자는 "경기도의 일부 지자체가 내부 출입 관리 시스템을 도입했다가 시민들의 반대로 다시 철회했다. 당시 해당 지자체는 예산 낭비 등 많은 지적을 받았다"며 "시청과 달리 구·군청 등의 기관은 주민들에게 항상 열려있고 쉽게 오갈 수 있는 장소가 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아직 출입 관리 시스템 도입 계획은 없지만 많은 구·군이 고민은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전했다.

하지만 일부 구·군은 최근 대구 수성구 변호사사무실 방화사건 등이 발생한 이후 각자 방호 시스템 마련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구청은 자체 방호 강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며, 서구청 역시 화재 등 사고 대비를 위한 비상벨 설치, 소화시설 보강 등의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대구지역 한 구청 청사 관리 담당자는 "다른 구·군도 마찬가지겠지만 수성구 변호사사무실 방화, 악성 민원인 등으로 방호 강화의 필요성에 대해선 모두 공감하고 있다"며 "민원인들의 자유로운 출입과 구청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편의 등을 생각해 다양한 방호 강화 방안을 찾아보려 한다"고 말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남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