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재욱 칠곡군수가 7일 백선엽 장군의 딸 백남희씨에게 다부동 흙이 들어있는 올리브 나무를 선물하고 있다. <칠곡군 제공> |
![]() |
고(故) 백선엽 장군. 영남일보DB |
"내가 죽으면 유해를 묻기 전 국립묘지에 들러 전우에게 인사할 수 있도록 해다오."
고(故) 백선엽 장군 서거 2주기를 앞두고 그동안 유가족 가슴에 담아 두었던 고인의 마지막 유언이 공개됐다. 백 장군의 장녀 백남희(74) 여사는 7일 경북 칠곡군을 찾아 김재욱 군수에게 백선엽 장군의 유언을 전했다.
백 장군은 다부동전투가 벌어진 칠곡군을 제2의 고향이라고 할 만큼 남다른 애착을 가졌다. 유가족은 한때 칠곡군 다부동을 백 장군 장지로 검토하기도 했다.
백 여사는 "자신의 유해를 바로 묻지 말고,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 들러 전우에게 인사를 하고 다시 경기도 평택 미군 부대와 부대 내 워커 장군 동상 앞에 가서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메시지를 남기도록 해달라고 부탁했다"며 두 가지 유언을 밝혔다. 이어 "미군 부대에서는 아버지를 맞을 준비를 했지만 일부의 반대로 마지막 소원을 이뤄 드릴 수 없었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이에 김 군수는 위로의 말을 건네며 다부동 흙으로 평화를 상징하는 올리브 나무를 심은 화분을 선물로 전달했다. 김 군수는 "백 장군님은 부하들이 잠들어 있는 다부동에 묻히고 싶어 칠곡군에 땅을 매입하기도 했다"며 "다부동 흙에서 자란 올리브 나무처럼 장군님의 헌신이 한반도의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백 여사는 8일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리는 '고 백선엽장군 추모 2주기'행사에 참석한다. 한미동맹재단·주한미군전우회·육군협회가 주최하는 이날 행사에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김재욱 칠곡군수, 라카메라 한미연합사령관 등이 함께한다.
한편 백 장군은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해 한 달 만에 낙동강전선만 남기고 적화되는 풍전등화의 위기 속에서 미군과 함께 다부동전투에서 전공을 세우며 32세에 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대장에 올랐다. 탁월한 전술·전략을 통해 6·25전쟁 주요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한·미동맹의 기틀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0년 7월10일 99세로 서거해 대전국립현충원 장군 제2묘역에 안장돼 있다.
마준영기자 mj3407@yeongnam.com

마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