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대위 체제 출범…당분간 내홍 이어질 듯

  • 서정혁
  • |
  • 입력 2022-08-09   |  발행일 2022-08-10 제4면   |  수정 2022-08-10 06:58
국민의힘 비대위 체제 출범…당분간 내홍 이어질 듯
국민의힘 화상의원총회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주호영 비상대책위원회가 9일 출범했다. 비대위 전환에도 이준석 대표와의 갈등, 비대위 활동 기간과 성격, 전당대회 개최 시기 등을 두고 당내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당분간 혼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주호영 비대위의 당면 과제는 2개월 가까이 이어진 당 내홍 수습이다. 이를 위해 주 비대위원장이 가장 먼저 마주한 숙제는 이준석 대표와의 갈등 해결이다. 이날 비대위가 출범하면서 전임 지도부인 최고위원회와 이 대표는 자동으로 해임됐다. 앞서 이 대표는 비대위 체제가 전국위에서 의결되는 즉시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반발했고, 이에 대한 기자회견을 오는 13일에 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주 비대위원장 입장에선 이 대표가 법적 대응에 나설 경우 집권 여당의 운명이 사법 판단에 좌우될 우려가 있어 이를 해결해야 하는 입장이다.

이날 공개 화상 의원총회에서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이 "주 위원장이 당을 안정화하기 위해 이 대표를 만나 얘기하고 상생의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주 위원장이 이 대표의 가처분 신청을 저지하면서 비대위원장으로서 첫 번째 성과를 낼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 대표와의 갈등 해결 후에도 남은 과제는 산적해 있다. 비대위 활동 기간과 성격, 전당대회 개최 시기 등을 두고 당내 의견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2024년 총선 공천권을 갖는 당 대표를 선출하는 차기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당 내홍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유력 당권 주자인 김기현 의원과 일부 친윤계에서는 '9월 말, 10월 초' 조기 전당대회를 전제로 한 '2개월 비대위'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 초기 비대위 체제를 장기적으로 가져갈 경우 국정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반면 조기 전대를 개최할 경우, 윤석열 정부 첫 정기국회를 앞두고 전대로 모든 이슈가 빨려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적어도 5~6개월은 비대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주 비대위원장이 이견을 보이는 의원들을 설득하는 과정 속에서 분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후자에 좀 더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지만, 활동 기간 문제는 '관리형' 혹은 '혁신형' 등 비대위의 성격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이다 보니 출범 이후에도 당분간 총의를 모으는 과정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친윤계에서는 조기 전대 준비에 초점을 둔 '관리형 비대위'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주 비대위원장을 포함한 일부 의원들은 '혁신형 비대위'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성동 원내대표가 비대위 성격 규정을 비대위에 온전히 맡겼고 혁신형 비대위를 구상 중인 주 위원장과 일부 당권 주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표출될 가능성이 높다.

비대위원 구성은 각계의 대표성과 원내·원외를 골고루 안배하는 콘셉트가 유력한 가운데 친윤(親尹)계가 얼마나 참여할지가 관전포인트다.

비대위원은 최대 14명까지 둘 수 있으나, 신속한 의사결정 등을 위해 과거 비대위 때와 마찬가지로 9명 이내의 한 자릿수로 구성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비대위원 구성은 지명 후 상임전국위원회 의결까지 신속하게 진행해 늦어도 정부 출범 100일을 맞는 17일 전엔 당 수습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