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청 산격동 청사. 대구시 제공 |
대구시는 생계 곤란 등에 빠진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을 신속히 찾아내고 지원하기 위한 '위기가구 종합지원대책'을 추진하겠다고 7일 밝혔다.
앞서 최근 '경기 수원 세 모녀 사건' 이후 대구경북에서도 위기가구 발굴과 관련해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영남일보 8월25일 보도)이 나온 바 있다.
대책은 △지역특화형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속한 위기가구 발견 △주소 미이전 위기가구 발굴체계 개선 △희망복지 원스톱지원센터 설치 △기존 복지수급가구 위기정도별 모니터링 강화 △시민참여 확대 △맞춤형 지원 확대 등 신속한 발굴과 지원을 위한 5대 정책과제 22개 세부사업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을 더 빨리 찾아내기 위해 지역 내 한국전력·대성에너지·상수도사업본부 등과 협업해 2개월 이상 연체자를 매월 추출해 신속하게 조사하는 방식, 즉 '지역형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수원 세 모녀 사건에서 문제가 된 주소 미이전 위기가구 발굴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또 '대구청년복지캠프'를 통해 영케어러, 은둔형 청년, 시설보호 종료 아동 등 'MZ세대'의 새로운 위기 가구를 발굴하고 지원하며, 기존 복지수급 가구에 대해서도 사례관리를 강화하고 가구의 위기도를 6단계로 구분해 주기별 모니터링 상담을 실시한다. 그리고 여러 부서에 산재한 위기상황 발굴과 지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희망복지 원스톱지원센터'를 대구시행복진흥원에 설치할 계획이다.
더 많은 위기가구 지원을 위해 공동주택관리자, 수도·가스 검침원 등 생활업종 종사자를 중심으로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을 1만3천 명까지 확대하고, 고위험가구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일촌 맺기 사업을 통해 민간복지안전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복지서비스를 몰라서 신청 못하는 위기가구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맞춤형 급여 안내 사업인 복지멤버십 가입자를 확대한다.
김동우 대구시 복지국장은 "이번 종합지원 대책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더 빨리 찾아내고, 더 두텁게 보장하기 위한 대책"이라며 "고통받는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