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율 상승에 따른 대구지역 기업 영향 조사 결과 자료: 대구상공회의소 |
1천400원대로 치솟은 고환율 여파로 대구지역 기업들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24일 대구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대구지역 수·출입 기업 12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율 상승에 따른 대구기업 영향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41.7%가 원자재 단가 인상, 대금 결제 시 환차손 발생 등 '부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고 답했다. '긍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22.5%에 불과했다.
통상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액은 증가해 채산성이 개선됐지만 현재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생산비용이 더 크게 올라 이익이 상쇄되는 것. 실제 이번 조사에서 기업 10곳 중 6곳(61%)는 환율 상승으로 수출금액이 증가한다고 답했고 평균 증가율은 7.4%로 조사됐다. 하지만 생산비용이 증가한다는 기업은 10곳 중 8곳(80.9%)로 더 많았고 평균 상승 비용은 9%로 나타났다.
생산비용 증가의 주원인(복수응답)으로는 '원자재비 부담 증가'(95.8%)를 가장 많이 꼽았다. 직접 수입하지 않는 기업도 수입된 원자재 국내 구입비가 증가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어 유류비 증가 등에 따른 '물류비 증가'(52.1%), '해외 법인 및 지사 관련 비용 증가'(3.1%) 등 순이었다. 상승한 생산비용을 제품 가격에 '전혀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율은 42.7%였다.
환율 변동에 '대응책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4.2%를 차지했다. 대응책을 마련한 기업의 경우 '인건비 등 원가절감 노력'(43.3%), '수출입 단가(혹은 물량) 조절'(43.3%), '수입처 다변화'(17.9%), '환헤지 상품 투자 등 환율변동 위험 관리 전략 확대'(16.4%) 등을 제시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환율 변동에 대비해 기업이 환 헤지 상품 가입 등 외환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환율은 개별 기업이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수출입 관련 금융 보증 지원 강화, 주요국과의 통화 스와프 확대 등 정책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