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대출 부실 사태 우려스러워

  • 정우태
  • |
  • 입력 2022-10-31 22:44  |  수정 2022-10-31 22:44  |  발행일 2022-10-31
전경련, 기업대출 현황 분석
기업대출 부실 사태 우려스러워
<자료: 전국경제인연합>


레고랜드 사태로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기업대출 부실 사태 우려가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채무불이행 사태가 촉발될 위험이 있어 자금 유동성을 확충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기업 대출의 부실 징후로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대출 △기업의 상환능력 악화 △ 높은 변동금리 비중 △부동산 등 취약 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비은행 기관을 통한 대출 증가 등 5가지 요인을 꼽았다.

전경련이 한국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사태 이전 10년간(2009~2019년) 기업 대출은 연평균 4.1% 증가했으나 코로나 이후 현재까지 2년 반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에 달했다. 기업 대출금 총액은 2019년 말 976조원에서 현재 1천321조원으로 35% 증가했다.

대출금이 늘었지만 상환 능력은 취약해졌다. 부채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DSR(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은 2019년 37.7%에서 2022년 39.7%로 높아졌다. DSR이 높을수록 상환 능력이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기업 대출은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변동금리 대출이 대부분이다. 지난달 대출 잔액 기준으로 기업의 72.7%가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올 상반기의 경우 부동산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에서 GDP(국내총생산) 비중 대비 많은 대출이 발생했다. 대출금리가 높은 비은행 기관의 대출 증가율은 예금은행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이에 전경련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법인세 개선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가 금리가 인상되면서 기업들이 자금난, 신용경색 등을 겪었다. 유사시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비상계획을 사전에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