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일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실질적 영토침해 행위"라며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엄정 대응을 지시했다. 대통령실도 별도 브리핑을 통해 "대응조치를 단호하고 즉각적이며 분명하게 취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지하벙커인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합참의장의 보고를 받고 이같이 말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윤 대통령 주재 NSC가 열린 것은 지난 5월 25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이후 두 번째다.
대통령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북한 도발이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해 자행된 미사일에 의한 실질적 영토침해 행위"라며 "우리 사회와 한미동맹을 흔들어 보려는 북한의 어떠한 시도도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한 도발이 분명한 대가를 치르도록 엄정한 대응을 신속히 취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군이 만반의 태세를 유지하며 향후 북한의 추가적인 고강도 도발 가능성에도 대비하라고 말했다.
회의 참석자들도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가 동해 NLL을 침범해 우리 영해 인근에 낙탄된 유례 없는 군사적 도발임을 지적하며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고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또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9·19 군사합의 등을 위반해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 발사, 방사포 및 해안포 사격 등 긴장을 고조시키는 데 대한 모든 책임이 북한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이태원 참사'로 인한 국가애도기간 중 감행된 이번 도발이 인륜과 인도주의에 반하는 북한 정권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개탄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서도 엄정대응 의지를 강조했다. 김 실장은 "북한은 한미연합공중훈련을 빌미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및 9·19 군사합의를 위반한 도발을 강력히 규탄한다. 무엇보다 우리 국가애도기간 중에 자행한 점에서 매우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또한 그는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당사자는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강화하면서 도발을 지속하는 북한"이라며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고 그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측에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어적 성격의 한미연합훈련을 계속해나가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국가정보원이 오는 7일까지 북한의 제7차 핵실험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한 데 대해선 "특정 기간에만 도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을 세우지 않고 한시라도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오전 8시51분쯤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3발을 발사했으며 이 중 1발은 동해 NLL 이남 공해상에 떨어졌다. 이 미사일이 울릉도 방향으로 날아온 탓에 울릉군에는 공습경보도 발령됐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