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데이터센터 유치' 탄력받나…정부 전기요금 유인책으로 비수도권 분산 방침

  • 김형엽
  • |
  • 입력 2022-11-09 18:50  |  수정 2022-11-09 18:55  |  발행일 2022-11-10
대구에 데이터센터 유치 탄력받나…정부 전기요금 유인책으로 비수도권 분산 방침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카카오 통신 먹통 사태로 혼쭐이 난 정부가 수도권에 집중된 데이터센터를 비수도권에 분산하기로 방침을 정하면서 '전기요금 인센티브 제공'이라는 강력한 유인책을 제시했다. 빅데이터산업 등 데이터 거점도시 육성에 목을 매고 있는 대구시는 대기업 데이터센터 유치에 승부를 걸어볼 수 있는 기회요인이 생겼다며 반색하고 있다. 다만 대구시는 데이터센터뿐 아니라 연구개발 및 유지보수 인력이 인근에 상주할 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되면 유치전에 더 적극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비수도권 분산 유인책은 전기요금
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 등 공공기관과 민간 전문가, 업계 종사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는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비수도권 데이터센터에는 전기요금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배전망(22.9㎸) 연결 시 케이블·개폐기 등 시설부담금을 일부 할인하고, 송전망(154㎸) 연결 시에는 예비전력 요금 일부를 면제해 준다.


지역 전력수급 여건을 고려한 데이터센터 분산화 전략도 마련한다. 송전망·변전소 등 전력계통 인프라가 충분히 확보된 지역이나 LNG 냉열·수열 등 버려지는 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해 전기 사용을 감축할 수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입지를 적극 발굴할 예정이다. 지자체와 협업해 금융·세제 등 패키지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신규 데이터센터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는 시스템도 만든다. 전력계통 파급효과가 크거나 과도한 신규 투자를 유발하는 경우, 계통 연결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는 일정 기간 전기 공급을 유예하는 방안도 찾는다. 수도권 등 전력계통 포화 지역의 신규 데이터센터는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는 계획을 짜도록 하고 이행상황을 면밀히 살피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를 안정감있게 운영하려면 전력 공급이 풍부하고 계통 접속이 원활한 지역으로 분산해야 한다"며 "수도권 집중을 완화할 종합대책을 연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비수도권 분산 이유와 대구시 입장
정부가 이처럼 데이터센터의 분산에 적극 나서기로 한 것은 수도권 집중화 정도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전국의 데이터센터는 142개소로, 총 전력 사용량이 4천6 GWh(기가와트시)에 달하는 대표적 전력 다소비 시설이다. 현재 데이터센터 입지 60%, 전력수요 70%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이런 추세라면 2029년엔 입지와 전력수요 90%가 수도권에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달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먹통 사태'가 일어나면서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현상에 대한 경각심이 커졌다. 수도권에 몰린 데이터센터에 안전·보안과 전력계통에 문제가 있거나 재난 발생 시 다시 전국적 통신 마비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


대구시에도 '데이터센터 '유치 기회가 찾아왔다. 대구시는 2019년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뛰어들었다가 고배를 마신 적 있다. 대구시는 빅데이터와 관련해 기존엔 행정서비스 위주로 진행하다 내년부턴 산업화쪽으로 확실히 방향을 틀 계획이다. 데이터 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다. 대구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의 지역 분산은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전기나 물 사용이 많다는 점에서 센터만 덩그러니 오면 유치전선에 활력이 생기지 않는다"며 "이왕이면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연구개발(R&D) 인력과 시설유지보수인력이 같은 건물에 들어오는 패키지 전략으로 진행된다면 대구시는 유치전에 적극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