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 등 가격 안정세 영향에 '기대인플레' 소폭 하락

  • 김형엽
  • |
  • 입력 2022-11-22 17:59  |  수정 2022-11-22 18:01  |  발행일 2022-11-22
농축수산물 등 가격 안정세 영향에 기대인플레 소폭 하락

향후 1년간 소비자들의 물가 전망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소폭 하락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0월(4.3%)보다 0.1%포인트 떨어진 4.2%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7월 4.7%로 역대 최고치를 찍은 이후 8월(4.3%), 9월(4.2%), 10월(4.3%), 11월(4.2%) 소폭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공공요금·외식 등 물가가 여전히 높지만 석유류·농·축·수산물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며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꺾인 것도 심리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6개월 후 금리 전망인 11월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51로 전달 대비 1포인트 올라 금리 상승을 전망한 비중이 1개월 전보다 커졌다. 1년 뒤 집값 하락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늘면서 11월 주택가격전망지수(61)는 전달 보다 3포인트 내려가 다섯 달 연속 역대 최저 기록을 갈아치웠다.

11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6.5로, 10월(88.8)보다 2.3포인트 낮아졌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주요 개별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임을 나타낸다.

6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83)만 지난 10월과 같았고, 생활형편전망(82·-2), 가계수입전망(93·-1), 소비지출전망(107·-3), 현재경기판단(46·-1), 향후경기전망(54·-2) 등 모든 지수가 하락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