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테크노파크(대구TP)로 통폐합이 아닌 독자 생존 쪽으로 가닥을 잡은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DGDP)이 자구책 마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24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시는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의 출자·출연기관 해제를 행정안전부에 신청했고 현재 관련 절차가 한창 진행 중이다. 당초 DGDP는 대구TP로 통폐합을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이사회가 법인 해산에 제동을 걸었고, 독립 법인으로 DGDP를 존속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에 대구시도 출자·출연기관에서 배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DGDP가 대구시 출자·출연기관에서 제외되면 지원 규모가 쪼그라들어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올해 기관 총예산은 199억여 원으로, 이 중 대구시비 비중은 약 40%다. 당장 내년엔 절반 수준인 20%대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또 DGDP가 입주한 동대구벤처밸리 소재 건물 운영비 명목으로 매년 지급되는 예산 지원(12억원 규모)도 끊길 가능성이 높다. 이 건물은 대구시 소유로, 다른 위탁 업체를 선정하면 DGDP는 임대료를 지급하거나 이전을 검토해야 한다. DGDP가 운영 중인 한국업사이클링센터(서구 평리동)도 인수인계가 필요하다.
시의회에선 DGDP 규모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지난 14일 열린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윤권근 시의원은 "출연기관에서 해제가 되고 독립적으로 운영하게 되면 보조 사업 등 여러 가지 사업들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 자체 운영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병문 시의원은 "디자인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는데 자칫하면 위축이 될 수 있디.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어 청년인구 유출이 심화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이에 DGDP 측은 국비사업 예산 비중을 늘리고,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급한 대로 내년에는 △산업혁신기반구축 △디자인사업화 기반구축 △퍼스널케어 융합 얼라이언스 육성사업 등 굵직한 국비사업을 유치해 예산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DGDP 관계자는 "우리는 지역 디자인 산업 및 관련 기업 육성을 위해 존재한다. 독립 법인이 된 이후에도 이 목적에 맞게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다만 예상치 못한 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사업비 축소 최소화, 임대공간 마련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24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시는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의 출자·출연기관 해제를 행정안전부에 신청했고 현재 관련 절차가 한창 진행 중이다. 당초 DGDP는 대구TP로 통폐합을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이사회가 법인 해산에 제동을 걸었고, 독립 법인으로 DGDP를 존속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에 대구시도 출자·출연기관에서 배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DGDP가 대구시 출자·출연기관에서 제외되면 지원 규모가 쪼그라들어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올해 기관 총예산은 199억여 원으로, 이 중 대구시비 비중은 약 40%다. 당장 내년엔 절반 수준인 20%대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또 DGDP가 입주한 동대구벤처밸리 소재 건물 운영비 명목으로 매년 지급되는 예산 지원(12억원 규모)도 끊길 가능성이 높다. 이 건물은 대구시 소유로, 다른 위탁 업체를 선정하면 DGDP는 임대료를 지급하거나 이전을 검토해야 한다. DGDP가 운영 중인 한국업사이클링센터(서구 평리동)도 인수인계가 필요하다.
시의회에선 DGDP 규모 축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지난 14일 열린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윤권근 시의원은 "출연기관에서 해제가 되고 독립적으로 운영하게 되면 보조 사업 등 여러 가지 사업들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 자체 운영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병문 시의원은 "디자인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는데 자칫하면 위축이 될 수 있디.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어 청년인구 유출이 심화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이에 DGDP 측은 국비사업 예산 비중을 늘리고,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급한 대로 내년에는 △산업혁신기반구축 △디자인사업화 기반구축 △퍼스널케어 융합 얼라이언스 육성사업 등 굵직한 국비사업을 유치해 예산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DGDP 관계자는 "우리는 지역 디자인 산업 및 관련 기업 육성을 위해 존재한다. 독립 법인이 된 이후에도 이 목적에 맞게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다만 예상치 못한 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사업비 축소 최소화, 임대공간 마련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