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물가의 추세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 (식품, 에너지 제외)의 상승 폭은 4%대에서 계속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관리가 없었다면 5%대를 넘어섰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 6.3%에서 8월 5.7%, 9월 5.6%, 10월 5.7%에 이어 11월 5.0%까지 떨어졌다. 전기·가스요금 인상 영향이 있었던 10월을 제외하면 상승 폭이 지속적으로 둔화한 것이다.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상승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근원물가는 7월(3.9%) 4%대를 밑돌았지만 8월(4.0%) 4%대에 진입한 뒤 9월 4.1%, 10월 4.2%, 11월 4.3%로 점차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 관리가 없다면 이 같은 근원물가 상승 폭은 더 크게 오른다. 관리물가 제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상승률은 6월 4.6%에서 7월 4.7%, 8월과 9월 각 4.8%에서 이어 10월 5.0%, 11월 5.1%까지 높아졌다.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4.7%)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6.3%) 대비 1.6%포인트 낮았지만, 11월에는 상승률이 0.1%포인트 높아졌다.
관리물가는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을 대상으로 만든 가격지수다. 공공부문에서 직접 공급하는 품목, 민간에서 공급하는 품목 중 정부 재정지원을 받거나 인허가·신고 등 간접적 행정규제를 받는 품목을 대상으로 한국은행에서 산출하고 있다.
관리물가의 근원물가 기여도는 2020년 말까지만 해도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2021년부터 플러스(+)로 돌아선 데 이어 올해까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관리물가가 근원물가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대신 상승에 기여하는 정도가 커진셈이다.
문제는 전기·가스요금 등 관리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품목들의 인상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 공공요금인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은 내년에 올해 인상분의 2배 안팎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정부 정책 측면에서는 그간 누적된 원가 상승 부담이 전기·도시가스 요금에 점차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