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부터 전기요금이 가구당 4천원 가량 인상돠는 등 물가 고공행진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고물가에 고금리가 유지되고 저성장까지 예고되면서 체감 경기는 한층 더 얼어붙을 것으로 보인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1% 올랐다. 5% 이상 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5.4%)부터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연간으로는 작년 물가가 직전 해보다 5.1% 상승해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그간 억눌러왔던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되면서 고물가가 장기간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분기 전기요금을 ㎾h(킬로와트시)당 13.1원 올리는 내용의 요금 조정안을 발표했다. 지난 한 해 인상된 전기요금이 19.3원임을 고려하면 역대급 인상폭이다. 4인 가구 기준으로 4천22원이 더 오르게 된다.
정부는 반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전기요금 인상요인 51.6원 중 4분의 1 가량을 1분기에 반영해 2분기에는 더 큰 폭으로 인상할 가능성도 있다.
나머지 인상분을 상반기에 반영해야만 한전의 흑자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작년 전체 물가 상승률(5.1%)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요금 영향은 0.41%포인트였는데 올해는 이보다 더 크게 물가 상승 폭을 키울 수 있다.
다른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된다. 대구지역 택시 기본요금이 3천300원에서 올해 4천원으로 700원 오르는 등 전국 대부분 지자체가 택시·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을 일제히 인상한다.
1분기 가스요금은 동결됐지만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한국가스공사 미수금이 누적되면서 2분기부터는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작년 가스요금은 주택용을 기준으로 총 5.47원 인상됐는데, 정부는 올해 요금을 이보다 1.5배에서 1.9배가량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고물가가 이어질 경우 한국은행의 고금리 긴축 기조도 유지될 수 밖에 없다. 정부는 내년 물가 상승률을 3.5%, 한국은행은 3.6%,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2%로 각각 전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내년 중 물가상승률이 상고하저 흐름을 나타내면서 점차 낮아지더라도 물가 목표 2%를 웃도는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며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금리 장기화는 가계 이자 부담과 자산 가격 하락 등을 초래해 소비 여력은 더 축소될 수 있다. 통계청의 지난해 3 분기 가계동향조사결과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실질 소득은 1년 전보다 2.8% 줄어드는 등 고물가와 고금리 여파가 이미 나타나는 모습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잠재성장률이 2% 안팎이고 그보다 낮은 성장이 전망되기 때문에 현실경제 체감은 더 어렵게 느끼지 않을까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