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1%대 저성장 예고…물가관리, 민생안정 주력

  • 김형엽
  • |
  • 입력 2023-01-01 16:02  |  수정 2023-01-01 16:02  |  발행일 2023-01-01

지난해부터 촉발된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경제 복합위기 영향이 계속 이어지면서 올해는 1%대 저성장 늪에 빠질 것으로 예측됐다.

1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 주요 기관에 따르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기재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6%, 한은은 1.7%,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1.8%로 제시했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했던 시기는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0.8%),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8%),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등 대형위기를 맞았을 때다. 올해 경제가 대형위기 못지않게 어려운 상황에 놓일 것으로 전망되는 셈이다.

가장 큰 위기는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수출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 무역적자는 472억달러(약 60조원)로 2008년 이후 14년 만에 연간 적자를 기록했고, 적자 규모도 역대 최대치다.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등이 부진하면서 지난달까지 석 달 연속 감소했다. 정부는 올해 수출도 전년보다 4.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감소로 생산도 위축되는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1% 늘었지만 반도체 생산은 11.0% 급감했다.

내수 전망도 어둡다. 코로나19 이후 살아나는 듯했던 소비는 작년 11월 기준으로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감소했다. 올해도 5% 안팎의 고물가가 당분간 지속되고 고금리 상황도 이어져 가계가 소비를 늘릴 여력도 낮다.

금리 상승 등 긴축 국면도 길어져 현재 사상 최대 규모로 불어난 가계부채(지난해 3분기 기준· 1천870조 6천억원)는 물론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소규모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가계가 흔들리고 부동산 시장 충격도 커질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산적한 위험요인에 철저하게 대응하면서 취약계층 지원 등으로 경기 부진을 극복한다는 구상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금융·부동산 시장 등 거시경제 리스크 요인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생활물가 안정을 통한 생계비 경감,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사회 안전망 확충 등을 통해 민생안정을 꾀하겠다"고 말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