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단이 연 4%대 초반까지 내려가면서 이달 30일 출시를 앞둔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한 관심도 시들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금리 상승기에 실수요자 이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중금리보다 저렴한 고정금리를 제공하는 정책금융상품이다. 주택 가격이 9억원 이하면 소득과 무관하게 최대 5억원까지 대출해준다. 문제는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가 떨어지면서 특례보금자리론 금리 매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25일 금융당국과 업계 등에 따르면 특례보금자리론 이용자 중 '주택가격 6억 이하'면서 '부부 합산 소득 1억 이하'인 경우는 우대형 금리인 4.65~4.95%를, 나머지는 4.75~5.05%의 일반형 금리를 적용받는다. 우대형 대출금리를 이용하는 차주가 별도 우대 금리까지 적용받을 경우 3.75~4.05%까지 내려간다.
하지만 금융소비자들 사이에선 일반 주택담보대출 상품과 금리 차이가 별로 없다는 지적이 많다. 지난 20일 기준 인터넷 은행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5년 고정·혼합금리) 금리는 연 4.19~5.19%다.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금리(5년 고정·혼합금리)는 연 4.252~5.253%다.
우대 조건에 따라 특례보금자리론보다 일반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이용하는 편이 더 유리할 수 있다.
관건은 향후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 인하 여부다.
금융당국은 특례보금자리론의 모태인 '보금자리론'과 마찬가지로 금리를 국고채 5년물과 주택저당증권(MBS) 스프레드(금리 차) 등을 고려해 한 달 주기로 조정할 방침이다. 향후 시장금리가 하향 안정될 경우 추가 인하될 수 있다.
금융당국은 특례보금자리론이 우대 금리를 적용하면 시중은행보다 실제 적용되는 금리가 저렴하고 정책 상품으로서의 의미도 있다는 입장이다.
특례보금자리론은 한 부모·장애인·다문화·다자녀 가구 등 사회적 배려 층 0.4%포인트(2개 중복 적용 가능), 저소득청년 0.1%포인트, 신혼부부 0.2%포인트, 미분양주택 0.2%포인트 등 최대 0.9%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약정 및 등기 시 적용되는 '아낌e' 우대금리(0.1%포인트)는 소비자 대부분이 적용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