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압박에 앞다퉈 각종 수수료 없애고 대출 금리 낮추는 은행들

  • 김형엽
  • |
  • 입력 2023-02-05 17:25  |  수정 2023-02-05 17:41  |  발행일 2023-02-06
gettyimages-578076616.jpg
게티이미지뱅크
시중은행들이 최근 앞다퉈 각종 수수료를 없애거나 줄이고 대출 금리를 낮추고 있다.

5일 지역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온라인에 이어 오프라인 창구 거래에서 발생하는 이체(송금) 수수료까지 만 60세 이상 고객을 대상으로 면제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앞서 지난달 1일부터 모바일뱅킹 앱 '뉴쏠(New SOL)'과 인터넷뱅킹에서 타행 이체 수수료, 타행 자동 이체 수수료를 전액 면제한 바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19일부터 모바일·인터넷뱅킹 타행 이체 수수료를 없앴고, NH농협은행도 비슷한 시점에 모바일 뱅킹 이체 수수료 면제를 발표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이달 8일, 10일부터 모바일·인터넷 뱅킹 타행 이체 수수료를 받지 않을 예정이다.

대출 금리도 일제히 낮추고 있다. 특히 개별은행이 임의로 덧붙이는 가산금리를 줄이면서 실제 대출금리 하락 폭이 시장(채권) 금리나 코픽스 등 지표 금리 하락 폭보다 훨씬 크다.
지난 3일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는 연 4.950∼6.890% 수준이다. 약 한 달 전인 1월6일(연 5.080∼8.110%)과 비교해 상단이 0.130%포인트, 하단이 1.220%포인트나 하락했다.

은행권의 이같은 변화에는 금융당국과 정치권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10일 임원 회의에서 "금리 상승기 은행이 시장금리 수준, 차주 신용도 등에 비춰 대출금리를 과도하게 올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은행의 금리 산정·운영 실태를 지속해서 점검·모니터링해 미흡한 부분은 개선토록 하는 등 금리산정체계의 합리성·투명성 제고 노력을 지속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달 30일 윤석열 대통령도 금융위원회 업무보고 이후 열린 토론회에서 "은행은 공공재 측면이 있기 때문에 공정하고 투명하게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데 정부가 관심을 보이는 것이 관치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선 정부가 지나치게 예금·대출 금리 조정에 간섭하면 예금 금리와 시장금리, 대출 금리가 자연스럽게 연동되는 금리 체계가 망가질 우려가 있다고 경계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