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산업진흥원, 서비스로봇 활용 실증 사업 컨소시엄 공모

  • 최시웅
  • |
  • 입력 2023-02-10  |  수정 2023-02-10 17:18  |  발행일 2023-02-10 제10면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서비스로봇 활용 실증 사업 컨소시엄 공모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서비스 로봇 시장에 국비 90억 원을 투입해 힘을 보탠다.

진흥원은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 확대와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23년도 '서비스 로봇 실증 사업' 컨소시엄을 공모한다고 9일 전했다.

이번 공모는 ▲서비스 로봇 활용 실증 사업, ▲로봇 활용 사회적 약자 편익지원 사업으로 나뉘며, 국비 총 90억 원을 지원한다.

70억 원이 투입되는 서비스 로봇 활용 실증 사업은 물류, 웨어러블, 의료, 일반(협동·방역·순찰 등) 서비스로 구분해 신청을 받는다. 평가위원회가 신청 과제가 사업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을 서류로 심사한 뒤 현장 심사와 발표, 사업비 심의를 거쳐 최종 평가할 예정이다.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에 따라 물류, 웨어러블 분야를 우선으로 지원한다.

사업 기간은 협약일부터 올 11월 말까지다. 선정된 컨소시엄은 사업 종료 후 3년까지 지원 로봇을 활용해야 하며, 이 기간 소모품 비용과 운영비 등은 소급 편성이 불가하다. 접수된 과제 전체 숫자와 분야별 지원 과제 수, 내·외부 정책 변화 등에 따라 최종 지원 규모는 조정될 수 있다.

해당 사업에 신청하기 위해서는 수요처와 로봇 기업이 직접 컨소시엄을 구성해야만 한다. 수요처 단독으로 로봇 기업과 협력할 수 있고, 대표 수요처와 하위 수요처를 묶어 로봇 기업과 컨소시엄을 만들어도 된다. 협약 시 민간 부담금 매칭이 가능해야 하고, 과제 종료 시점까지 수행 완료가 가능한 과업을 제시해야 한다. 지방비를 매칭하고자 하면 '지방비 매칭 확약서'를 제출한 뒤 사업 종료일 2개월 전까지 납입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진흥원은 사회적 약자에게 로봇을 보급해 삶의 질을 높이고, 돌봄 인력 노동·심리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사회적 약자 편익지원 사업에도 국비 20억 원을 지원한다.

지원을 바라는 지자체와 관련 기관이 로봇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지방비를 매칭해야 하며, 광역·기초지자체와의 연합 컨소시엄 구성도 가능하다. 국비 지원 비율은 컨소시엄당 최대 70%에서 50%로 줄었다. 또, 수도권 편중 현상을 줄이기 위해 5개 권역(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강원·제주권)으로 구분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경제가 이어지면서 물류 로봇, 방역 로봇, 돌봄 로봇 등의 수요가 급증했다. 서비스 로봇 신시장과 신사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로봇 활용에 관심이 있는 지자체, 기관, 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사업 신청 기간은 내달 8일까지이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www.kiria.org)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