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인터넷 포털과 언론상생협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
인터넷 포털의 뉴스 유통으로 인한 지역 언론차별 및 공공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국회에서 머리를 맞댔다.
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권성동·홍석준(대구 달서구갑)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인터넷포털과 언론상생 협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포털의 뉴스 유통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는 뉴스콘텐츠에 대한 포털의 높은 영향력 속에서 언론사 제휴와 제재를 둘러싼 시비가 커짐에 따라 국회 차원의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위원 선임 및 심사기준의 모호성, 공정성 문제 등이 지속되고 있는 것에 대해 여당 의원들이 전문가 및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를 만들었다.
홍석준 의원은 "언론의 올바른 민의를 반영하기 위해 포털이 객관적이고 공정함을 담보해야 하는 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면서 "제평위 위원이 정치적으로 편향되어 있고 수도권 비수도권 격차 역시 심각하다. 진정한 민의가 포털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6일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인터넷 포털과 언론상생협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
이날 토론회에서는 조맹기 서강대 명예교수가 '인터넷 포털 뉴스 유동에 공적 책임 제고방안'을 최경진 가천대 교수(법과대)가 '포털과 뉴스사 간의 제휴 심의 공정성 담보방안'에 대해 각각 발제했다. 조 교수는 포털이 극단적 팬덤정치의 여론 왜곡 도구로 쓰였다는 점을 지적한 뒤 포털의 공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현재 제평위 심사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모든 뉴스사업자가 차별받지 않고 검색 결과에 반영되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 토론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와 변호사, 언론인 등 7명이 참여했다. 지역 언론을 대표해 참석한 김기억 영남일보 이사는 '포털이 만든 기울어진 운동장 어떻게 바로잡을 것인가'를 주제로 제평위 운영과 개선책에 대해 발표했다. 김 이사는 인구규모를 감안하지 않은 지역 매체 특별심사와 CP(콘텐츠 제휴)사의 지역 기사 노출 한계 등을 지적하면서 "언론의 균형 없이는 국가 균형발전도 없다. 포털이 수도권과 지역 언론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