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최고경영자(CEO)초청 오찬을 마친 뒤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최고경영자(CEO)초청 오찬에서 영상물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일자리를 많이 창출한 공로를 인정받은 100개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오찬을 함께하며 개혁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오찬에서 "노동개혁과 교육개혁 모두 기업 투자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윤대통령은 "개혁을 통해 민간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구조적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노동·교육 개혁 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노동개혁은 노동자에게 공정하고 정당한 보상을, 기업에는 생산성과 경쟁력을 증대시켜 주는 것"이라며 "교육개혁 또한 기업에는 생산성과 경쟁력 증대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미래세대에는 지식과 경쟁력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이며 양질의 일자리는 민간에서 나온다"며 "정부 역할은 이를 위해 규제를 타파하고 미래 전략기술 분야에 선제적으로 투자·지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기업과 '원팀'으로 수출 증진에 힘써 높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스타트업 육성에도 적극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윤 대통령은 직무성과급 임금체계를 도입해 청년 채용을 늘린 클루커스 대표에게 뜻깊은 사례라고 언급한 뒤, 다른 기업에도 확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지시했다.
한편 이날 오찬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앞장선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되거나 정부 포상을 받은 중소·중견·대기업 93곳, 장애인을 다수 고용하고 있는 기업 7곳 등 총 100개 기업 CEO가 참석했다. 3대째 빵집을 운영하며 지역 청년의 실습 및 채용에 힘써온 성심당, 발달장애 아들을 둔 엄마로서 중증장애인 고용 기업을 창업한 베어베터 등 5개 기업의 사례 발표도 진행됐다. 사회는 개그맨 허경환이 맡았다. 허경환은 지난해 식품 유통업체를 운영하며 남녀고용평등 실현에 앞장선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