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뉴욕 증시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일제히 하락했다.
22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30.49포인트(1.63%) 하락한 32,030.11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5.90포인트(1.65%) 떨어진 3,936.97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90.15포인트(1.60%) 밀린 11,669.96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연준은 이날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종전보다 0.25%포인트 높은 4.75~5.00%로 인상했다. 다만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점도표)은 지난해 12월과 같은 5.1%였다.
애초 '빅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전망이 많았으나 실리콘밸리은행(SVB) 등의 파산 사태로 금융 불안이 계속되자 시장에서 예상한 대로 '베이비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25% 포인트 인상)을 밟은 것이다.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SVB 파산 여파에도 인상하게 된 배경에 대해 "최근 지표는 지출과 생산에서 완만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일자리는 최근 몇 달간 증가했으며 견조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면서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개별 위원의 전망도 살펴보면 18명 중 10명이 올해 연말 금리를 5.0~5.25%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이날 시장에서는 사실상 한 번의 금리 인상 이후 사이클이 끝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하기도 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발표 후 증시는 불확실성 해소를 반기며 1%가량 상승했다. 하지만 직후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연내 인하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피벗(pivot·방향 전환) 기대를 일축하며 증시도 하락 전환했다. 그는 회견 말미에도 재차 "연내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올해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시장에는 찬물를 끼얹은 발언이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이날 의회에 출석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모든 예금을 보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를 부인했다.
옐런 장관은 "이것은 우리가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우리가 고려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전날 옐런 재무장관은 필요할 경우 예금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 조치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고, 주요 외신은 재무부가 FDIC의 지급 보장 대상을 모든 예금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서용덕기자 sydkjs@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