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대경권 경기 '소폭 악화'…집값 하락폭 확대

  • 손선우
  • |
  • 입력 2023-03-30  |  수정 2023-03-30 09:12  |  발행일 2023-03-30 제11면
한은 '2023년 3월 지역경제보고서' 발표

대구경북 주택 매매가격과 주택 전세가격 하락폭 확대
1분기 대경권 경기 소폭 악화…집값 하락폭 확대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서 28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의 권역별 경기 레이더 추이.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1분기 대경권 경기 소폭 악화…집값 하락폭 확대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서 28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의 권역별 경기 레이더 추이.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1분기 대경권 경기 소폭 악화…집값 하락폭 확대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서 28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의 권역별 경기 레이더 추이.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제공


올 1분기 대구경북지역 경기는 전 분기에 비해 소폭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분양 리스크가 커진 탓에 대경권의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하락 폭이 확대됐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8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를 통해 1분기 지역 경기상황을 분석한 결과, 대경권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악화' 됐다.


생산 측면에서는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제조업 생산이 소폭 감소했다. 반면 철강은 포항제철소에서 지난해 태풍으로 침수된 생산라인 복구를 완료해 전 분기보다 증가했다. 자동차부품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완화와 친환경차 관련 부품 수요 증가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1분기 대경권 경기 소폭 악화…집값 하락폭 확대
대구 수성구 전경. 영남일보 DB

반면 부동산업은 미분양 증가와 대출금리 상승 등 매수 심리 약화가 지속됐다. 지난달 기준 대구와 경북의 매매수급동향지수는 각각 67.3과 85.4로 집계됐다. 기준치(100)에 한창 못 미친다. 특히 대구는 2021년 7월부터 광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올 1~2월 중 대구경북지역의 월평균 주택매매가격은 전 분기 말 대비 1.03%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0.98%)와 비교해 하락 폭이 커진 이유는 입주물량 확대와 미분양물량 누적 지속, 매수심리 위축 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북은 포항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 증가세가 이어지며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손선우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