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대선 과정에서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1심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윤재옥 원내대표. 연합뉴스 |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여야가 '리스크'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다.
국민의힘이 '극우 논란'과 윤석열 정부의 외교 리스크로 지지세에 발목이 잡혔고,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돈 봉투 의혹'까지 터지면서 급격히 흔들리고 있다.
일각에선 벌써부터 내년 총선이 최선보단 차악을 선택하는 '비호감 선거'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김기현 체제'가 출범하며 쇄신에 나섰지만 일부 최고위원의 잇따른 실언과 전광훈 목사발(發) '극우 논란'에 좀처럼 지지율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또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후쿠시마 오염수 방수 논란, 미 CIA의 도·감청 의혹도 지지율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근로시간 개편 등 일부 정책에 대해 윤석열 정부가 국민의 이해를 구하기보다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서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총선 공천 시계가 속도를 낼 경우 이른바 '대통령실발(發) 물갈이' 등 무리한 공천으로 인한 논란도 예고된 리스크로 평가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에서 불거진 논란에 반사이익을 얻고 있지만, 이 대표의 각종 의혹에 이어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이란 악재가 커지면서 '사법 리스크'가 극에 달하고 있다.
최근 내년 총선에서 '정권 견제'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여론조사로 고무된 분위기에 중첩된 사법 리스크가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이 대표가 17일 돈 봉투 의혹에 대해 공식 사과하면서 진화에 나 섰으나, 현역 의원들과 당협위원장이 연루됐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총선에서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치권에서는 총선 레이스의 관전 포인트가 여야의 리스크 관리가 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여야 지도부의 행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선거 컨설팅업체 엘엔피파트너스의 이주엽 대표는 "야당은 사법 리스크가 너무 크고, 여당은 '정치력 부재'를 보여주고 있다"라며 "여야 모두 리더쉽을 발휘해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야 내년 총선에서 유권자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고 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