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축산물도매시장 운영 현황. <대구시 제공> |
대구시가 대구축산물도매시장의 지속 유지는 불필요하다는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재정, 유통, 입지 등 검토 내용들을 종합하면 대구 도축장은 더 이상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없다는 게 중간 용역의 기본 방향이다.
시는 16일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5층 대회실에서 '축산물도매시장(도축장) 운영방안 중간 연구용역'을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신흥산업<주>, 대구축산농협, <주>대구축산물도매센타, 중도매인 등 관련 대표와 유통종사자들이 참석했다.
대구시가 한국산업관계연구원에 의뢰해 진행한 이번 용역 결과에 따르면 2019년 도축장에서 출하된 소와 돼지는 각각 418마리, 1천125마리로, 전체 물량에 비해 각각 9.7%, 0.6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90% 이상은 경북을 포함한 타 지역 축산농가에서 출하됐다. 또 대구지역 내 유통되는 비율은 소 11.1%, 돼지 27.8%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자료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수치로 통계에 쓰이지 않았다. 2004~2021년까지 전국의 소, 돼지 도축 두수는 각각 연평균 2.88%, 1.36%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대구 도축장은 소와 돼지는 각각 1.7%, 2.35% 감소했다.
한국산업관계연구원 측은 대구시민에 값싸고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하겠다는 도매시장 본래의 개설 취지와는 다르게 2016년 이후 모돈(어미돼지) 등 비규격돈 도축 증가로 안전한 먹거리 공급이 어려운 상태라고 진단했다. 법인은 비규격돈 도축을 통해 수익을 채우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돼지 도축라인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보수비용이 매년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게 이번 용역의 핵심이다.
대구 도축장은 지난 2001년 5월 서구 중리동에서 북구 검단동로 신축 이전했다. 이때 대구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운영관리 조례를 개정하면서 축산부류 도매시장법인의 시장 사용료와 시설사용료를 타 시도보다 하향 조정했다. 이를 통해 위탁업체 측이 누적금액 기준으로 그동안 103억원의 초과이익을 누린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20년이 경과하면서 급속한 노후화로 시설 개보수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개·보수비용으로 연간 9억원이 지출된다. 관리 공무원 인건비까지 포함하면 연간비용은 14억원에 달한다. 세입 6억원 대비 233%의 시비를 부담하면서 운영하는 것이다. 전국 70개 도축장 중 행정기관이 소유하는 건 대구 도축장이 유일하다.
시는 도축장이 폐장되더라도 전국 도축장 평균 가동률이 60%인데다, 오는 7월 대구로 편입되는 군위군의 도축장과 고령, 영천, 안동, 창녕, 김해 등 주변 도축장으로 분산하면 도축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대한한돈협회 등에서 요구하는 비규격돈 도축(출하물량 중 대구농가 1% 미만, 경북 등 타 지역 90% 이상)과 관련해 경북도 내 모돈 도축라인 증설, 타시도 분산 도축을 위한 운송비 지원 등을 경북도에 요청했다.
시는 최종 용역결과가 나오는 다음 달 중 대구도축장 처리 방향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도축장 운영방안 연구용역 최종 결과가 나오는 내달 대구축산물도매시장 운영방안에 대한 방침을 수립하고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