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1분기 사상 최대 규모로 금을 사들였다. 여파로 하반기에도 금값이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게티이미지뱅크> |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1분기 사상 최대 규모로 금을 사들였다. 여파로 하반기에도 금값이 우상향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25일 하나증권이 발표한 '금 가격 역대 최고치 경신 가능성. 전통에는 이유가 있다'는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금값은 우상향 할 것이라 예상했다. 최근 금값이 주춤하는 모습을 보인 것과 다소 다른 분석이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 보고서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후 신흥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 자산 동결 여파로 친러 성향을 가진 신흥국의 금 보유 유인이 늘어난 것"이라며 "특히 중국은 작년 11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금 매입을 크게 늘리고 있다. 미국 달러와의 패권 전쟁 차원에서 금 보유량을 늘릴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튀르키예, 우즈베키스탄, 인도, 카타르 등 신흥국 중앙은행은 금 228t(톤)을 매입했다. 2000년 통계 발표 시작 이후 사상 최대 규모다. 중국도 이 분위기에 편승할 분위기다.
전 연구원은 "1980년 이후 미국의 경기 침체 국면일 때 금 수익률은 평균 9.3% 내외로 높은 수준"이라며 "지금처럼 경기가 위축되고 물가 하락 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금은 중장기적으로 내재적 가치를 보존하는 매력적인 자산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짙어지면서 국내에서도 금값이 오르고 있다.
전날 한국거래소(KRX) 금 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의 마감 가격은 1g당 8만3천820원이었다. 1년 전보다 11.09% 올랐다. 이달 4일에는 장중 8만7천610원까지 올랐다. 2014년 3월 24일 KRX 금 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래 최고가를 찍기도 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