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서울 종로구 SKC 본사에서 차세대 2차전지소재 사업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박원철(왼쪽) SKC 사장과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 부사장이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포스코 제공> |
포스코그룹이 SKC와 손잡고 차세대 2차전지 음극재 개발에 나섰다.
포스코그룹과 SKC는 30일 서울 종로구 SKC 본사에서 '차세대 2차전지 소재 사업'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 소재 공동 개발과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등을 협업해 미래 2차전지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기로 했다.
리튬메탈음극재는 동박에 리튬 금속을 도금해 제조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가 기존 흑연계 음극재(350mAh/g) 대비 약 10배 수준인 3,860mAh/g에 달하는 고용량 소재로서 리튬이온배터리는 물론 향후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이 가능해 차세대 음극재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리튬, 니켈 등 원료부터 양·음극재, 차세대 2차전지용 소재 등 2차전지 소재 전반을 아우르는 밸류 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2017년부터 리튬메탈음극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시작했으며, 2026년 상용화할 예정이다.
SKC의 자회사 SK넥실리스는 2차전지용 동박 시장에서 글로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SKC는 지난해 영국 기술기업 넥세온에 투자하며 실리콘 음극재 사업에도 본격 진출했다. 이어 포스코그룹과의 협업으로 리튬메탈 음극재 사업 기반도 구축한다.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은 "리튬메탈음극재 등 차세대 음극재 역량뿐만 아니라 리튬, 니켈 등 원 소재, 양·음극재를 아우르는 2차전지 사업에서의 강점을 보유한 포스코그룹과 SKC의 협력으로 2차전지 시장에서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원철 SKC 사장은 "포스코그룹의 막강한 인프라와 SKC의 소재 기술력의 시너지를 통해 대한민국 2차전지 산업의 경쟁력을 대폭 키울 수 있을 것"이라며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