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회장 퇴진 집회로 포항 분위기 어수선

  • 김기태
  • |
  • 입력 2023-06-16  |  수정 2023-06-16 07:16  |  발행일 2023-06-16 제5면
대책위, 합의서 약속 지켜라 주장

경제계 특구 지정 악영향 우려
포스코홀딩스 회장 퇴진 집회로 포항 분위기 어수선
포스코 전경. 영남일보DB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를 놓고 포스코와 일부 시민단체 간 갈등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여론도 찬반으로 갈리는 등 지역사회가 내홍을 겪고 있다.

◆범대위는 퇴진 운동
앞서 예고한대로 '포스코지주사 본사·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15일 포스코 본사 앞에서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퇴진을 위한 총궐기 대회'를 가졌다.

범대위의 이번 집회 목적은 최 회장의 퇴진과 합의 이행이다. 이들은 "포스코가 지역대표(포항시·포항시의회·범대위)와 맺은 합의서에는 포스코홀딩스 소재지의 포항 이전을 약속했지만 현재 주소만 이전했다. 또한 포항시와 포스코 간 상생협력TF 회의도 일곱 차례 열렸지만 내용 없이 공전만 거듭했다"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포항에는 무늬뿐인 본사가, 서울에는 실질적인 본사가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더 나아가 포항을 철저히 외면하고 포항시와도 합의 노력을 게을리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합의서에 이름을 올렸던 범대위는 포스코의 약속을 받고 잠잠해졌지만, 약속이 이행되지 않자 다시 범대위 활동에 나서고 있다. 2022년 2월 출범한 범대위는 포스코 지주사 포항 이전과 미래기술연구원 포항 신설을 촉구하며 41만명의 동참을 이끌어낸 바 있다. 범대위는 지난해 합의서 작성 이후 최 회장이 지역에 대한 사과 또는 유감을 기대했지만 표명이 없었고, 최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포스텍 국가 기부채납 추진에 대한 반감도 갖고 있다. 이에 범대위는 포항시내 곳곳에 최 회장의 사퇴를 담은 현수막을 내거는 등 포스코와 갈등을 거듭해 오고 있다.

◆경제계 입장은 '우려'
반면 지역 상당수 단체는 이 같은 갈등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포항시는 미래 20년 먹거리가 달린 국가첨단전략산업 2차전지 특화단지 유치에 총력을 쏟고 있다. 또한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소 건립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지역 경제 낙수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이득없는 갈등과 반목보다 현실적인 실리를 챙기는 게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포스코 노경협의회는 15일 입장문을 내고 "현재 포항은 상생과 화합의 모습은 없고, 온통 비난과 혐오의 붉은 현수막으로 가득한 도시가 됐다"며 "이러한 행동이 지역갈등을 부추기고 포항시민에게도 큰 상처가 되고 있다는 사실에 많은 시민이 걱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 시간부로 포스코는 범대위의 비상식적인 요구와 단체활동에 대해서는 일체의 대응을 중단해 줄 것"을 촉구했다.

앞서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도 입장문을 통해 "범대위는 그동안 작지 않은 역할을 했으나 지금 모습은 어떠하며, 누구를 위한 집회이며, 무엇을 위한 투쟁인지 묻고 싶다"고 최 회장 퇴진 집회 개최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포항시민 모두가 갈등과 대립이 아닌 이해와 협력을 통해 포항의 위기 극복에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경북 포항상공회의소 역시 지역 경제계 입장문을 통해 "지금 포항은 2차전지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총결집할 때"라며 "지역사회의 안정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더 이상의 불필요한 소모적인 논쟁보다 보다 성숙하고 변모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때"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