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는 3~7일 중국 상해와 충칭으로 대구경북 중국 리오프닝 시장개척단을 파견했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본부 제공> |
![]() |
반려동물 사료 제조업체 티웰의 김건우 대표가 중국 충칭 반려동물용품 유통기업 관계자와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대경본부 제공> |
대구경북 소비재 기업들이 4년 만에 중국 시장문을 다시 노크했다.
11일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에 따르면 무협 대경본부는 대구시·경북도와 공동으로 지난 3~7일까지 '중국 리오프닝 시장 개척단'을 파견했다. 상해와 충칭에서 각각 오프라인 수출 상담회를 개최했고, 지역 소비재 기업 13개사는 200만달러 상당의 수출 상담 성과도 거뒀다.
대구에선 다원바이오(건강식품)·달성공영(DIY차양)·성경순만두(만두)·지앤지콘택트렌즈(컬러렌즈)·팔공김치(김치)·홍성(친환경 유아식기)·핸섬코스(화장품) 7개사가 참가했다.
경북에선 더힘찬푸드(대게게장)·시골이야기푸드(사과즙)·안동종가문화원(생강음료)·알알이푸드(장류)·에이치앤에이치그룹(쌀 활용 화장품)·티웰(반려동물 사료) 6개사가 동참했다.
지역 업체들은 두 차례 수출 상담회를 통해 142건 상담, 약 2백만 달러의 수출 상담성과를 냈다. 이중 34만 달러 규모 계약이 구체적으로 협의 중이다.
특히, 기능성 펫푸드를 내세운 스타트업 '티웰'은 충칭 현지에 한 반려동물용품 유통기업과 현지 시장 진출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까지 체결했다. 티웰의 기술력이 동반된 현지 공략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상해와 충칭에서 오프라인 수출 상담회가 열린 건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4년 만이다. 그간 중국은 강력한 방역 정책과 출입국 정책을 펼치면서 인적 교류를 제한했다. 이때문에 지역 중소기업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상해와 충칭은 중국 최대 소비시장이다. 무역협회 상해지부와 코트라 충칭무역관이 현지에서 중국 바이어를 섭외하고, 수출상담회를 운영했다.
현지 전문가를 초청해, 지역 기업들과 만남의 기회도 제공했다.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단가를 위해 품질을 포기하지 말고, '왕홍(인플루언서)'을 활용한 B2C 판매이력 확보 이후 B2B 사업으로 확대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중국 시장 공략 난이도는 갈수록 높아지는 모양새다. 최근 양국 기업간 기술 격차가 좁혀졌고, 중국 소비자 수준도 갈수록 높아진다. 대기업은 현지 법인과 지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역 중소기업은 진출 방법이 없었다. 이번 시장 개척단이 지역 중소기업들엔 대중 대면 마케팅을 재개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헌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 시장규모와 근접성 측면에서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라며 "중국 경제가 정상화되고 있다. 리오프닝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에 대중국 마케팅을 재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