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일 정점 찍는 폭염?…전기요금 폭탄 걱정도 ↑

  • 최시웅
  • |
  • 입력 2023-08-07  |  수정 2023-08-06 16:31  |  발행일 2023-08-07 제1면
산업부 "7~8일 전력 수요 올여름 최고치"…수급 관리 안정적

전기요금 폭탄 우려는 커져…요금인상, 사용량 증가 등 겹친 탓
7~8일 정점 찍는 폭염?…전기요금 폭탄 걱정도 ↑
전국적으로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영등포구 한 무더위 쉼터에서 한 시민이 에어컨을 조작하고 있다. 연합뉴스
7~8일 정점 찍는 폭염?…전기요금 폭탄 걱정도 ↑
2023년 여름 소상공인 전기요금 예상
연일 이어지는 '가마솥 더위'가 이번 주 절정을 찍을 전망이다. 올여름 전력 수요도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여 전기요금 폭탄 투하 우려가 나오고 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오는 7~8일 이틀간 전력 수요가 각각 92.9GW(기가와트)로 올여름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여름휴가를 떠났던 산업체 근로자들이 속속 복귀하고, 태풍 '카눈'이 한반도로 밀어 올린 열기가 8일까진 이어질 것을 감안한 예측이다.

산업부는 7~8일 전력 공급 능력을 103.5~103.6GW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비력(공급능력-최대전력)이 10.6~10.7GW이므로 전력 수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빛 원전 2호기가 이번 주 중 재가동되면 0.95GW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

예상보다 전력 사용량이 많아지면 정부는 단계별로 추가 예비자원 가동, 에너지 사용 절감 조치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강경성 산업부 제2차관은 "태풍 진로 변경 등 불확실성이 큰 만큼 모든 전력 관계기관이 전력 수요와 공급 관리에 총력 비상체제를 유지하겠다"며 "한전과 발전사들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송·변전, 발전설비의 불시 고장이 생기지 않도록 반복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번 주를 정점으로 폭염기세는 한풀 꺾이겠지만 이젠 '전기요금 폭탄' 공포가 엄습해온다.

전력 사용량 자체는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전 전력통계정보시스템을 보면 올해 7월 마지막 주(7월23~29일) 평균 최대 전력 수급량은 8만1천741MW, 8월 첫주(7월30일~8월5일)는 8만1천900MW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각각 8만2천666MW, 8만605MW였던 것과 비슷하다.

문제는 지난해와 달라진 요금체계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2분기까지 총 다섯 차례 걸쳐 ㎾h당 요금을 총 40.4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7~8월 4인 가족 평균 전력 사용량인 427㎾h로 계산했을 때 작년 7월 요금은 5만1천811원이지만, 올해 7월은 6만3천254원으로 올랐다.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하면서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전기요금 물가지수는 무려 25% 급증했다.

소상공인의 요금폭탄 고지서 부담은 더 크다. 소상공인에 주로 적용되는 전기요금인 '일반용(갑)저압'은 작년 여름부터 세 차례에 걸쳐 ㎾h당 28.5원 인상됐다. 이번 여름(7~8월) 지난해 수준(1천586㎾h)으로 전력을 사용하면 올해 전기요금은 34만8천40원에 이른다. 요금 인상 전인 작년 기준으론 29만6천640원이었다.

전력 당국은 소상공인과 뿌리기업을 대상으로 고효율기기·냉방기기 교체 지원 및 요금 분납제 활용 등 요금 부담 완화 정책 활용을 당부하고 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