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군 공항(K2) 후적지 조감도. 대구시 제공 |
![]()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감도. 대구시 제공 |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되는 대구 군 공항(K2) 이전 사업 계획이 기획재정부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를 최종 통과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TK)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은 날개를 달게 됐다.
14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이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25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 회의에서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 계획이 최종 승인됐다. 재정 분야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됐다는 의미로,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이 공식화 된 셈이다.
이 자리에서 추 부총리는 "TK 신공항 건설은 올해 4월 국회에서 의결한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이라며 "중앙정부·지자체·민간의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성공리에 사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 국유재산정책심의위는 기재부와 국방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소속의 당연직 위원과 부동산·금융·도시계획·건축 분야를 포함한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이날 위원회에선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기부대양여 방식의 적정성 등에 대해 심의했다. 심의 결과 기부 재산은 최근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해 11조 5천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K2 후적지 토지이용계획은 대구시가 지난 6월 27일 발표한 개발계획대로 승인됐다. 기부 재산과 같은 규모의 도시개발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는 의미다. 이는 2014년 5월 군 공항 이전을 위해 국방부에 이전 건의서를 제출한 지 9년 만에 이뤄낸 성과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2025년 착공을 목표로 국방부와 군 공항 이전 사업에 대한 합의 각서 체결을 비롯해 사업시행자 지정, 사업대행자 선정 등 후속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키로 했다.
대체시설 건설비와 지원사업비가 양여 재산을 초과할 때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근거 등을 담은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이 오는 26일 시행되는 만큼,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대구시는 TK 신공항 개항 시기를 2030년으로 설정하고 주변 지역은 첨단물류 및 산업단지, 친환경 에어시티로 개발할 계획이다. K2 이전 후적지 6.98㎢(211만평)는 금호강 물길을 끌어들인 수변도시로 조성해 두바이와 싱가포르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시키겠다는 복안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TK 신공항 건설사업이 첫 발을 뗄 수 있게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추 부총리와 지역 정치권 인사들에게 감사하다"면서 "신공항을 중남부권 첨단물류·여객 공항으로 조속히 완공해 대구가 대한민국 3대 도시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