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네이버 증권정보 |
14일(미 동부시각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23포인트(0.07%) 오른 35,307.6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5.67포인트(0.58%) 상승한 4,489.72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3.48포인트(1.05%) 오른 13,788.33으로 장을 마감했다.
주초 이벤트 부재 속에 엔비디아 주가가 7% 이상 오르면서 최근 약세를 보인 기술주를 동반 견인했다. 엔비디아 주가의 반등은 최근 주가 하락에도 인공지능(AI) 관련주에 대한 낙관론이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모건스탠리는 엔비디아를 ‘최선호’ 종목으로 유지한다며, 주가 하락에도 여전히 장기 전망을 낙관한다고 말했다. 목표가는 500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지난 금요일 종가 대비 22.4% 높은 수준이다.
지난주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0.3%, 1.9% 하락하며 2주 연속 하락했다. 나스닥 지수가 2주 연속 하락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반도체를 대거 매집하고 있다는 소식도 주가 급등에 일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사우디가 엔비디아의 H100 반도체를 최소 3000개 사들였으며 UAE도 수천개의 엔비디아 반도체를 확보했다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유명 헤지펀드 타이거 글로벌이 공시를 통해 엔비디아에 대한 지분을 1,300% 늘렸다는 소식도 나왔다. 다음 주 예정된 실적 발표를 앞두고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한 주간 8.5%가량 하락했었다.
AMD의 주가도 4% 이상 오르고, 인텔의 주가도 2% 이상 상승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예정된 소매판매와 월마트, 홈디포, 타깃 등 소매 유통 기업들의 실적을 앞두고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 소매판매가 지난달보다 0.4% 증가해 전달의 0.2% 상승보다 상승 폭이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다만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연준의 고금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연준이 9월에 금리를 동결한 후 11월에 금리 인상이 불필요하다고 선언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내년 2분기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출처 : 딜라이트닷넷(https://www.delighti.co.kr)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