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소재한 애그테크(AgTech) 기업 <주>대동이 모빌리티 분야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설립한 대동-카이스트 모빌리티 연구센터에서 '모빌리티 테크데이'를 열고 스마트 모빌리티 신기술 개발 현황을 확인했다.
대동은 지난 18일 대전 유성구의 카이스트 문지캠퍼스 내 대동-카이스트 모빌리티 연구센터에서 모빌리티 테크데이를 열었다. 전동 모빌리티 핵심 부품 개발 경과를 보고하고, 자율주행 모빌리티 LSV(Low Speed Vehicle) 시연도 진행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선 모터제어기(MCU), 차량제어기(VCU) 등 모빌리티 전동화 핵심 부품의 개발 진행 현황과 자율주행 기술, LSV 등 1차연도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 자율주행 LSV는 대동모빌리티의 골프카트에 △자율주행 아키텍처 △고정밀 지도(HD Map) △객체 탐지 SLAM △주행제어 SW 등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연내 실증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대동은 카카오모빌리티, 퓨처이브이 등 모빌리티 전문 기업과 협력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과 △농작물 자율운반 추종 로봇 △경운·파종·수확 등 농작물 전주기 활용 가능 농용 로봇 △실내용 배송로봇 등을 개발 중이다. 계열사 대동모빌리티의 'S-팩토리'에선 전기 스쿠터, 골프카트 등을 생산한다.
대동은 전동화·자동화·지능화 등 스마트 모빌리티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지난해 카이스트와 손잡고 모빌리티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로봇공학·지능형 메카트로닉스 권위자 김경수 기계공학과 교수가 센터장이다. 2025년까지 핵심 기술 확보와 자율주행 LSV, 전동 다목적 운반차 등 제품 개발을 추진한다.
원유현 대동 대표이사는 "대동은 카이스트와 모빌리티 공동 연구를 통해 핵심 기술 내재화와 차세대 첨단 제품 라인업 구축을 노린다"며 "향후 확보한 기술과 모빌리티 구동 플랫폼을 활용해 농업·비농업 분야 로보틱스 사업으로 진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대동은 지난 18일 대전 유성구의 카이스트 문지캠퍼스 내 대동-카이스트 모빌리티 연구센터에서 모빌리티 테크데이를 열었다. 전동 모빌리티 핵심 부품 개발 경과를 보고하고, 자율주행 모빌리티 LSV(Low Speed Vehicle) 시연도 진행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선 모터제어기(MCU), 차량제어기(VCU) 등 모빌리티 전동화 핵심 부품의 개발 진행 현황과 자율주행 기술, LSV 등 1차연도 연구결과 발표가 있었다. 자율주행 LSV는 대동모빌리티의 골프카트에 △자율주행 아키텍처 △고정밀 지도(HD Map) △객체 탐지 SLAM △주행제어 SW 등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다. 연내 실증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대동은 카카오모빌리티, 퓨처이브이 등 모빌리티 전문 기업과 협력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과 △농작물 자율운반 추종 로봇 △경운·파종·수확 등 농작물 전주기 활용 가능 농용 로봇 △실내용 배송로봇 등을 개발 중이다. 계열사 대동모빌리티의 'S-팩토리'에선 전기 스쿠터, 골프카트 등을 생산한다.
대동은 전동화·자동화·지능화 등 스마트 모빌리티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지난해 카이스트와 손잡고 모빌리티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로봇공학·지능형 메카트로닉스 권위자 김경수 기계공학과 교수가 센터장이다. 2025년까지 핵심 기술 확보와 자율주행 LSV, 전동 다목적 운반차 등 제품 개발을 추진한다.
원유현 대동 대표이사는 "대동은 카이스트와 모빌리티 공동 연구를 통해 핵심 기술 내재화와 차세대 첨단 제품 라인업 구축을 노린다"며 "향후 확보한 기술과 모빌리티 구동 플랫폼을 활용해 농업·비농업 분야 로보틱스 사업으로 진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