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것이 왔다." 대구 식품·유통업계는 그야말로 초비상이다.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소비자의 수산물 기피 현상을 우려하며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수산업계는 소비촉진, 정부비축, 경영안정대책 등 종합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수산업계 관계자들은 해산물 소비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전국적으로 해산물 소비 급감이라는 홍역을 치렀던 전례가 있어 자영업자들은 망연자실하고 있다. 또 2013년 원전 오염수 누출 때는 전통시장에서 약 40%, 대형마트에서 약 20%의 수산물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올 초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소식을 접해 온 대구경북 소비자들은 먹거리 안전에 위협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선 '수산물 강박증' 분위기마저 형성되고 있다. 앞서 소비자시민모임이 지난 4월 소비자(525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92.4%가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소비를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천일염 등 유통기한이 긴 식품은 사재기로 재고가 동이 났고, '소금 확보 전쟁'도 재연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대구 중구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오염수 방류 가능성만 제기됐을 때도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극에 달했다. 이제 방류시점이 확정됐으니 당연히 해산물 소비를 기피하지 않겠냐"면서 "일부 수산물업계 종사자는 업종 변경을 진지하게 고민 중"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또 "아마 수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바닷가 근처 관광, 숙박, 음식점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산업의 미래가 암담하다"고 푸념했다.
대형마트 등 일부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저마다 방사능 검사 강화 등 안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산물 방사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방사능 대응 체계를 평시·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정해 올 초부터 운영하고 있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검사 건수를 상향해 먹거리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며 "수산물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 관계 당국과도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동원·신세계푸드 등 식품업계는 방사능 검사를 자체적으로 시행할 뿐 아니라 외부 공인기관에서도 받기로 했다. 이들 업체는 올 초부터 방사능 검사 항목을 2배 늘린 데 이어 원료 수입처 다각화에도 나섰다. 특히 소금의 경우 호수염·암염 등으로 대체하거나 유럽 등의 국가에서 수입해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세계·현대·롯데 등 유통업계 역시 전국 매장에 방사능 측정기기를 도입하거나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있다. 실제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8월 기준 대서양이나 지중해산 상품 가짓수가 지난해보다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수산업계 관계자들은 해산물 소비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전국적으로 해산물 소비 급감이라는 홍역을 치렀던 전례가 있어 자영업자들은 망연자실하고 있다. 또 2013년 원전 오염수 누출 때는 전통시장에서 약 40%, 대형마트에서 약 20%의 수산물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올 초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소식을 접해 온 대구경북 소비자들은 먹거리 안전에 위협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선 '수산물 강박증' 분위기마저 형성되고 있다. 앞서 소비자시민모임이 지난 4월 소비자(525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92.4%가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소비를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천일염 등 유통기한이 긴 식품은 사재기로 재고가 동이 났고, '소금 확보 전쟁'도 재연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대구 중구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오염수 방류 가능성만 제기됐을 때도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극에 달했다. 이제 방류시점이 확정됐으니 당연히 해산물 소비를 기피하지 않겠냐"면서 "일부 수산물업계 종사자는 업종 변경을 진지하게 고민 중"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또 "아마 수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바닷가 근처 관광, 숙박, 음식점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산업의 미래가 암담하다"고 푸념했다.
대형마트 등 일부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저마다 방사능 검사 강화 등 안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수산물 방사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방사능 대응 체계를 평시·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정해 올 초부터 운영하고 있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검사 건수를 상향해 먹거리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며 "수산물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 관계 당국과도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동원·신세계푸드 등 식품업계는 방사능 검사를 자체적으로 시행할 뿐 아니라 외부 공인기관에서도 받기로 했다. 이들 업체는 올 초부터 방사능 검사 항목을 2배 늘린 데 이어 원료 수입처 다각화에도 나섰다. 특히 소금의 경우 호수염·암염 등으로 대체하거나 유럽 등의 국가에서 수입해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세계·현대·롯데 등 유통업계 역시 전국 매장에 방사능 측정기기를 도입하거나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있다. 실제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8월 기준 대서양이나 지중해산 상품 가짓수가 지난해보다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