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절정에 달한 지난 8월 전기(주택용) 사용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가정은 작년보다 평균 25% 오른 고지서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 여름부터 단행한 전기요금 인상 여파가 겹친 탓이다.
전기요금 인상에도 한국전력공사의 적자 구조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어 정부와 한전의 시름이 깊어질 전망이다. 동절기 난방수요와 한전 재무 위기상황 속에서 정부가 어떤 선택을 내릴지 주목된다.
한전이 15일 발표한 전력통계 월보를 보면 올 8월 주택용 전기 판매량은 9천377기가와트시(GWh)로 지난해 8월보다 4.6% 늘었다. 역대 최고치다. 가구당 평균 전기 사용량도 작년 8월(325㎾h)보다 2.5%가량 많아진 333kwh로 집계됐다.
작년 여름 이후 전기요금이 세 차례에 걸쳐 ㎾h당 28.5원 인상된 여파로 세대별 전기요금은 급등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전 측은 작년 8월 427㎾h의 전기를 쓴 4인 가구가 6만6천690원이 적힌 고지서를 받았다면 올해는 438㎾h를 사용하고 8만3천390원(약 25%↑)을 냈을 것으로 추산했다. 똑같이 427㎾h를 썼더라도 20.8% 오른 8만530원으로 계산된다.
일반용 전기 판매량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8월 일반용 전기는 총 1만3천102GWh가 팔려 작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상점 등 상업 시설에서 사용되는 일반용 전기 판매량 증가 역시 요금 인상과 맞물려 소상공인 체감 인상 폭을 대폭 높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여름 전기 사용이 급증한 것은 무더위 탓이다. 8월 중 하루 최고 기온이 33℃ 이상인 날이 11일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았다.
이젠 '동장군'이 다가온다. 지난겨울 매서웠던 추위에 전기 난방제품이 불티나게 팔렸고, 전력 수요는 치솟았다. 가스보다 전기가 싼 영향이다. 올해도 극한 한파가 예상돼 전기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점쳐진다.
동절기 때 서민의 생활고가 예상되지만, 한전은 4분기에 ㎾h당 25.9원을 더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최근 발발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더 불안해진 것도 전기료 상승 압박요인이다.
정부는 '자구책 마련' 요구를 강조하고 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최근 열린 '에너지 공기업 경영혁신 점검 회의'에서 "공기업 적자 해소를 위해 에너지 비용을 국민에게 요금으로 모두 전가할 순 없다"며 "특히 한전은 제2의 창사에 임한다는 각오로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추가 자구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각 가정은 작년보다 평균 25% 오른 고지서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 여름부터 단행한 전기요금 인상 여파가 겹친 탓이다.
전기요금 인상에도 한국전력공사의 적자 구조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어 정부와 한전의 시름이 깊어질 전망이다. 동절기 난방수요와 한전 재무 위기상황 속에서 정부가 어떤 선택을 내릴지 주목된다.
한전이 15일 발표한 전력통계 월보를 보면 올 8월 주택용 전기 판매량은 9천377기가와트시(GWh)로 지난해 8월보다 4.6% 늘었다. 역대 최고치다. 가구당 평균 전기 사용량도 작년 8월(325㎾h)보다 2.5%가량 많아진 333kwh로 집계됐다.
작년 여름 이후 전기요금이 세 차례에 걸쳐 ㎾h당 28.5원 인상된 여파로 세대별 전기요금은 급등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전 측은 작년 8월 427㎾h의 전기를 쓴 4인 가구가 6만6천690원이 적힌 고지서를 받았다면 올해는 438㎾h를 사용하고 8만3천390원(약 25%↑)을 냈을 것으로 추산했다. 똑같이 427㎾h를 썼더라도 20.8% 오른 8만530원으로 계산된다.
일반용 전기 판매량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8월 일반용 전기는 총 1만3천102GWh가 팔려 작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상점 등 상업 시설에서 사용되는 일반용 전기 판매량 증가 역시 요금 인상과 맞물려 소상공인 체감 인상 폭을 대폭 높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여름 전기 사용이 급증한 것은 무더위 탓이다. 8월 중 하루 최고 기온이 33℃ 이상인 날이 11일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았다.
이젠 '동장군'이 다가온다. 지난겨울 매서웠던 추위에 전기 난방제품이 불티나게 팔렸고, 전력 수요는 치솟았다. 가스보다 전기가 싼 영향이다. 올해도 극한 한파가 예상돼 전기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점쳐진다.
동절기 때 서민의 생활고가 예상되지만, 한전은 4분기에 ㎾h당 25.9원을 더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최근 발발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더 불안해진 것도 전기료 상승 압박요인이다.
정부는 '자구책 마련' 요구를 강조하고 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최근 열린 '에너지 공기업 경영혁신 점검 회의'에서 "공기업 적자 해소를 위해 에너지 비용을 국민에게 요금으로 모두 전가할 순 없다"며 "특히 한전은 제2의 창사에 임한다는 각오로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추가 자구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