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조의 교섭 결렬 선언으로 포스코가 사상 첫 파업 기로에 선 가운데 포스코 우수공급사 협의회가 노조의 파업 시도 중단과 조속한 협상 마무리를 촉구했다.
포스코 우수공급사(PHP) 협의회는 18일 성명문을 내고 "포스코 노사 관계는 포스코만의 문제가 아니며, 포스코와 거래하는 공급사 전체의 생존권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며 노조의 파업 시도 중단을 촉구했다.
PHP 협의회는 포스코에 자재·설비·원료를 납품하고 있으며, 공정거래 실천 항목 등 포스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에 맞는 관련 지표에서 두각을 낸 59개 공급사로 구성됐다. 이들 공급사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가 조업을 멈추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을 때, 회원사들이 보유한 유류 탱크, 차량, 기사 등을 지원하며 제철소 복구에 일조했다.
PHP 협의회는 "지난해 민관군이 포항제철소 복구를 위해 절박하게 움직였던 것은 포스코가 포스코 노조만의 일터가 아니라 협력회사, 공급사에도 소중한 일터였기 때문"이라며 "포스코가 파업으로 조업을 멈춘다면, 냉천 범람 때보다 더 큰 설비피해와 함께 공급사에도 큰 자괴감을 안겨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때는 포항·광양 인근 산업단지의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상대적인 박탈감을 안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과 복리후생 격차는 심각한 상황인데 파업으로 이를 더욱 부추기게 된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의욕을 꺾고, 임금 격차 심화로 중소기업의 인력 수급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PHP 협의회는 "포스코 노조에 간곡히 부탁드린다. 지금과 같은 어려운 시기에 파업으로 인해 미래 경쟁력을 준비하는 데 실기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노조는 파업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포스코 내 복수노조 중 대표교섭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은 지난 1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했다. 조정 기일은 통상 10일로 20일쯤 조정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중노위가 조정 중지 결론을 내리면, 노조는 이달 말쯤 조합원 대상 찬반 투표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포스코 우수공급사(PHP) 협의회는 18일 성명문을 내고 "포스코 노사 관계는 포스코만의 문제가 아니며, 포스코와 거래하는 공급사 전체의 생존권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며 노조의 파업 시도 중단을 촉구했다.
PHP 협의회는 포스코에 자재·설비·원료를 납품하고 있으며, 공정거래 실천 항목 등 포스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에 맞는 관련 지표에서 두각을 낸 59개 공급사로 구성됐다. 이들 공급사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포항제철소가 조업을 멈추는 초유의 사태를 맞았을 때, 회원사들이 보유한 유류 탱크, 차량, 기사 등을 지원하며 제철소 복구에 일조했다.
PHP 협의회는 "지난해 민관군이 포항제철소 복구를 위해 절박하게 움직였던 것은 포스코가 포스코 노조만의 일터가 아니라 협력회사, 공급사에도 소중한 일터였기 때문"이라며 "포스코가 파업으로 조업을 멈춘다면, 냉천 범람 때보다 더 큰 설비피해와 함께 공급사에도 큰 자괴감을 안겨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때는 포항·광양 인근 산업단지의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상대적인 박탈감을 안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과 복리후생 격차는 심각한 상황인데 파업으로 이를 더욱 부추기게 된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의욕을 꺾고, 임금 격차 심화로 중소기업의 인력 수급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PHP 협의회는 "포스코 노조에 간곡히 부탁드린다. 지금과 같은 어려운 시기에 파업으로 인해 미래 경쟁력을 준비하는 데 실기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노조는 파업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포스코 내 복수노조 중 대표교섭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은 지난 1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했다. 조정 기일은 통상 10일로 20일쯤 조정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중노위가 조정 중지 결론을 내리면, 노조는 이달 말쯤 조합원 대상 찬반 투표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