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5일 '수출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한국무역협회 제공> |
국내 수출기업의 10곳중 4곳은 기후 위기에 따라 격변하는 글로벌 사업 환경 대응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5일 '수출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전국 408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7월 28일~8월 28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를보면 조사에 응한 기업의 95.6%는 기후 위기 대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85%는 기후 위기가 향후 경영 활동과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규제로는 '배출권 거래제 등 탄소배출 규제'(66.2%)를 꼽았다. '재생에너지 의무사용(RE100 등)'(52.5%)과 'ESG 공시 의무'(24.3%) 등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작년 7월 시행한 조사에서 탄소중립 추진과 관련해 별다른 압박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기업이 중견기업 71.2%, 중소기업 87.8%였던 것에 비해 대폭 높아진 수치다.
이들은 주로 규제 기관이나 정부(41.9%)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압박을 받는다고 답했다. 주주·투자자 등 금융 이해 관계자의 요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와 수출액이 크고 수출 경력이 길수록 고객사·소비자의 압박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국내 수출기업 중 현재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펼치고 있는 곳은 10%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아무 계획이 없는 곳이 무려 40%에 육박해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이유로는 '자금 부족(46.1%)이 가장 높았다. 이미 대응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거나 곧 시행할 계획인 기업 역시 비용 부담(65.4%)이 크다고 답했다. 금융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감축 방법을 모른다는 답변도 42.4%에 달했다. 인력이 부족(37.6%)하거나 대응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23%) 계획을 세우지 않은 기업도 상당수였다. 수출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컨설팅 지원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