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년 뒤 우리나라 청년 인구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예측이 나온다. 게티이미지뱅크 |
약 30년 뒤 2050년쯤에는 우리나라 청년(19∼34세) 인구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든다는 암울한 예측이 나온다.
통계청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 세대의 변화'를 주제로 한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청년 세대 인구는 1천21만3천 명으로, 전체 인구(5천13만3천 명)의 20.4%를 차지한다.
2015년에 비해선 인구가 48만 3천명이 줄었다. 1990년 1천384만9천 명(31.9%)를 기록한 후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
이처럼 청년 세대는 줄어들지만, 이들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에 거주했다. 청년 세대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53.8%(549만1천 명)으로 2005년 51.7%로 올라선 이후 과반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 |
미혼도 늘어나는 추세다. 2020년 청년 세대 중 미혼은 783만7천 명이다. 전체 청년 인구의 81.5%로 5년전(75.0%)보다 비중이 6.5%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30~34세에서 56.3%로가, 25~29세 구간에선 87.4%가 미혼이었다. 20년 전인 2000년 (18.7%)에 비해 각각 37.6%포인트, 33.2%포인트 증가했다.
가구 유형별로 보면 청년 세대 중 1인 가구는 20.1%(193만5천 명)였다. 1인 가구 비중은 2000년 6.6%에서 2010년 12.6% 등으로 계속 상승세를 보였다.
청년이 혼자 사는 이유로는 '본인 직장 때문'이 5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본인의 독립 생활'(23.6%), '본인의 학업 때문'(14.8%) 순이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