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지방기상청 제공 |
기상청 관측 이래 지난 9월은 역대 가장 더웠던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대구지방기상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2023 가을철(9~11월) 기후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을철 대구·경북 평균기온은 14.8℃로 평년(13.9±0.3℃)보다 0.9℃ 높았다. 가을철 평균기온으로는 역대 4위 수준으로 높은 기온이다.
특히 대구·경북 올해 9월 평균기온은 기상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1973년 이래 가장 높았다. 지난 9월 대구·경북 평균기온은 22.2℃로 평년보다 2.1℃ 높았다. 9월이 가을의 초입이 아니라 여름의 연장이었던 셈이다.
이처럼 9월이 뜨거웠던 이유는 9월 상순 중국에서 일본까지 동서로 폭넓게 고기압이 발달했고, 이에 우리나라에 맑은 날이 이어지면서 강한 햇볕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9월 중·하순엔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중국해까지 가장자리를 넓히면서 우리나라로 따뜻한 남서풍이 자주 불어 기온이 매우 높았다.
11월은 냉탕과 온탕을 오가듯 기온이 급변한 달이었다. 11월 기온변동폭(1~30일 일평균기온의 표준편차)은 5.5℃로, 1979년 11월(5.8℃) 다음으로 컸다. 11월 내 일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날(5일·18.3℃)과 가장 낮았던 날(30일·-1.3℃)의 기온차는 무려 19.6℃로 역대 가장 컸다.
변동폭은 평년보다 포근한 11월 상순과 대체로 추웠던 중·하순 날씨 때문에 커졌다. 11월 상순 이동성고기압이 우리나라 남동쪽에서 느리게 이동하면서 강한 햇볕과 함께 따뜻한 남서풍이 강하게 유입돼 기온이 크게 올랐다. 중순부터는 시베리아 상공에 기압능이 형성된 가운데 우리나라 북쪽에 기압골이 발달해 북쪽에서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기온이 크게 떨어졌다.
가을철 대구·경북 강수량은 250.1㎜로 평년(186.8~296.3㎜)과 비슷했다. 북쪽 찬 기압골과 중국 내륙에서 확장하는 대륙고기압 사이에서 만들어진 눈구름이 서해상을 통해 유입되면서 지난달 18일 대구에서는 평년보다 이른 첫눈이 관측됐다. 평년 대비 17일, 작년 대비 25일 빨랐다.
함동주 대구기상청장은 "겨울철에도 기온변동, 폭설 등 이상기후에 대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시의적절한 기후정보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