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窓] 지역의료 공백은 진행형, 적극적 관심과 정책 필요

  • 이종목 대구시의사회 공보이사
  • |
  • 입력 2024-02-02 07:10  |  수정 2024-02-02 07:12  |  발행일 2024-02-02 제27면

2024020101000047300001311
이종목 (대구시의사회 공보이사·경북대병원 신경과 교수)

필자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제한적인 공간에서 제한적인 인간관계를 이어나가고 있어 대학병원 밖의 일에 대해 소식이 늦다. 그러나 반대로 제한된 공간에서 제한적인 인간관계 중 상당수가 의학관련 피교육자이다 보니 의과대학생 혹은 전공의와 사석에서 이야기를 할 기회가 많다. 피부로 와닿는 변화가 있으니 학생 중에는 타 지역 출신 학생이 늘어났고, 전공의 중에서는 대학병원의 교수로 남겠다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 이는 현재 진행형이며 지역의료의 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를 보여주는 단편이다.

특히 필자는 다양한 형태로 의과대학생을 접하고 있다. 그중 선택실습을 끝내고 의사고시에 금방 합격한 학생 한 명으로부터 연락이왔다.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니 진로에 관한 내용이었다. 그 학생은 연고지가 대구가 아니었고, 형제가 없어서 부모님과 충분히 상의 후에 결정하는 편이 좋겠다고 조언을 하였다. 결국 그 학생, 아니 그 새내기 의사는 연고지에서 인턴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연락이 왔었다.

지금도 필수 실습을 오는 학생에게 간단하게 추후 진로에 대해 물으면, 타 지역에서 온 상당수의 학생이 고향으로 가겠다고 하고, 그중 많은 학생들이 수도권에서 온 것을 고려한다면 추후 지역에서 일을 하겠다는 의사가 줄어듦에 틀림이 없다. 더욱이 대구에 연고를 둔 학생도 적지 않은 수가 서울에서 수련을 받기를 원하고 있어 인력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전문의 취득 후 진로에 대해서는 크게 4개로 나눌 수가 있다. 대학병원에서 교수로서의 진로, 봉직의 그리고 의원 개원이다. 이외에는 의사관련 일을 바탕으로 한, 기자와 같은 다직역의 일이다. 현재 수련을 받고 있는 전공의에게도 진로에 대해 의견을 나누다 보면 봉직의를 우선 생각하고 있고, 다음으로는 개원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대학병원의 교수는 마지막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의과대학 교수가 진료, 교육,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일을 하면서 헌신하여 받는 유무형의 보상이 해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더욱이 교수의 빈 자리를 메꾸기 위해 진료계약직으로 근무하는 진료교수와 의과대학 교수의 보수 차이 또한 상당하여 현재 근무 중인 의과대학 교수들의 상대적 박탈감 또한 크다. 이러한 분위기를 발 빠른 MZ세대 전공의들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대책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공공의대, 지역의사제와 같은 제도가 제안되었다. 두 정책 모두 졸업 후 10년간 근무자리를 강제한다는 것인데 이에 대해 반발이 예상되며, 복지부에서도 이에 대해 의사가 자발적으로 남게 제도를 개편하겠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정착을 할 수 있도록 대책이 필요하다. 그중 하나가 지역인재 선발의 비율을 늘려서 지역의료에 일을 할 새내기 의사를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그리고 지방 국립대병원의 의료진, 즉 의과대학 교수의 유출을 막기 위한 정책도 제시되었다. 2024년 1월에 국립대 교수 중 일부를 반드시 타 대학에서 뽑아야 한다는 규정을 폐지하였다. 또한 지방국립대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2023년 10월에는 인건비와 정원 관리와 같은 공공기관의 규제를 손을 보겠다고 하였다. 정책의 방향성이 맞다면 시일을 늦출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가 직업에 관계 없이 살 수 있도록 매력적인 도시로의 변화이다. 중앙정부는 이에 대한 부분도 소홀히 하여서는 안 되겠다.

이종목 (대구시의사회 공보이사·경북대병원 신경과 교수)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