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토부가 철도 지하화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KTX고속열차가 대구 중구 경부선 도심 구간을 지나가는 모습. 영남일보DB. |
![]() |
대구 철도 지하화 사업 구상안. 국토교통부 제공. |
철도 지하화 통합 개발을 위한 정부 주도 민·관·학·연 협의체가 출범하면서다. 다만, 대구시는 출범식에서 철도 지하화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려면,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토교통부 4일 서울에서 전국 16개 광역 지자체, 관련 공공·연구기관 및 철도기술·도시개발·금융 등 다양한 분야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추진 협의체'를 출범했다.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추진 협의체는 도심 내 철도를 지하로 이전하고 철도와 인접 부지를 혁신적으로 재창조하는 새로운 추진을 위한 전문가 그룹이다. 지난 1월 열린 윤석열 대통령 주재 6번째 민생토론회에서 발표한 철도 지하화 정책 추진을 위한 후속 조치다.
대구시는 이날 오후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출범식에 정장수 경제부시장이 참석했다.
출범식에서는 철도로 인한 도심 단절 문제에 대해선 공감하면서도, 비수도권은 정부 차원의 자금 지원 없이는 사업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 |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4일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추진협의체' 출범식에서 비수도권은 중앙 정부 차원의 자금 지원 없이는 사업성 담보가 어렵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대구시 제공 |
정부는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하는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도심을 통과하는 경부선 20.3㎞ 구간(서대구~사월동)에 대한 철도 지하화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검토 방향은 도심 내 철도로 인한 도시생활권 단절과 소음, 진동 등을 극복하는 철도 지하화 등 종합적인 효율화 방안이다. 경북은 여건을 고려해 추후 검토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현재 발주 중인 '경부선 대구 도심 지하화 등 개발방안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세워 국토부에 본격 제안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대구를 비롯한 각 지자체별 제안을 수렴한 뒤 타당성 등의 기준에 따라 종합계획을 세우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연구용역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구상 중인 내용은 정부가 수립하는 '철도지하화통합개발 종합계획' 검토과정에서 사업대상, 사업 구간 등이 변경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