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교육발전특구 실행계획' 확정…6개 분야 과제·5개 특례 제안

  • 노진실
  • |
  • 입력 2024-06-06  |  수정 2024-06-04 23:40  |  발행일 2024-06-06 제8면
지역늘봄·IB특구 운영·지역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등

3년 간 시범 운영…제도 개선 사항으로 5개 특례도 제안
대구 교육발전특구 실행계획 확정…6개 분야 과제·5개 특례 제안
대구시교육청 전경. 영남일보DB

대구시교육청은 6개 분야 30개 세부과제와 5개 특례 제안을 담은 '교육발전특구 실행계획'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대구 교육발전특구 실행계획에는 △지역늘봄 및 영유아 교육 지원 △국제인증교육과정(IB)특구 운영 △대구형 자율형 공립고 2.0 지정 운영 △대구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디지털 교육 혁신 △중등·고등교육 연계 지역인재 양성 시스템 등 6대 분야 중점 추진과제가 담겼다.

구체적으로 옛 대구 교동중 후적지를 활용한 '영유아교육진흥원' 설립, 자율형 공립고 추가 지정(화원고·서부고·동문고) 계획 등이 제시됐다.

시교육청은 교육발전특구 우수 인재 양성 및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으로 교육발전특구 특별법 제정 조항 등 5개의 특례를 제안했다.

우선 국제인증교육과정(IB) 특구 운영을 위한 특별법 제정(안)으로 국제인증교육과정 운영 특례, 초·중등 교원 정원의 1% 이내에서 교육감 권한으로 '지역자율교원제'를 통한 교원 수급 정책 다각화를 제안했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통학구역 유연화, IB과정 이수자의 대입 특별전형 도입 등도 담고 있다.

자율형 공립고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원 인사 채용 및 예산 사용의 자율성 확대 △외국인 유학생 중 특성화고 학생에 대한 사증 발급 △대학설립 기준 면적 완화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 제도 개선 등도 특례 제안에 포함했다.

대구시교육청은 "정부가 '교육발전특구 지정·운영을 위한 특별법'을 연내 마련할 예정이며, 해당 법에 담을 내용을 제안받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제도 개선 사안 등을 담은 특례를 제안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월 대구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됐다. '교육발전특구'는 중앙정부에서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균형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4대 특구(교육발전특구·기회발전특구·도심융합특구·문화특구) 중 하나로, 지자체, 교육청, 기업,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다.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은 손을 맞잡고 교육부에 시범지역 지정을 공동 신청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교육청은 매년 특교 지원금 200억 원과 자체 대응 투자를 합쳐 매년 약 400억 원 규모로 3년간 교육발전특구 시범 사업을 진행한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 "대구시, 9개 구·군, 대학, 기업, 공공기관들이 힘을 모아 교육의 힘으로 지역 정주 여건을 조성하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