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경주·영덕·울진의 경북 동해안 일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받을 수 있을까. 그 면적만도 2천693.69㎢다. 지난 11일부터 나흘간 해당 지역에서 유네스코 현장 실사가 펼쳐져 관심을 모았다. 방한한 2명의 유네스코 평가자는 울진 성류굴을 비롯해 영덕 신재생에너지 전시관·포항 호미반도 둘레길·경주 양남 주상절리 등지를 둘러봤다. 오는 9월 예비 결과에 이어 내년 프랑스 파리 정기총회에서 최종 발표된다.
예단하긴 이르지만 경북 동해안권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지정될 자격은 충분하다. 해당 지역마다 독특한 지질 자원을 품고 있어서다. 천연기념물인 성류굴은 길이가 870m에 이른다. 이곳에선 종유석·석순·석주·동굴진주 등 다양한 생성물을 볼 수 있다. 포항 호미곶~구룡포 해안은 계단 형태로 이어지는 해안단구인 점에서 이채롭다. 경주 양남 주상절리도 다른 나라에선 보기 드문 형태다. 부채 모양을 비롯해 위로 솟거나 비스듬히 누워있는 모양 등 다양한 주상절리를 감상할 수 있다.
경북 동해안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면 국내 여섯 번째다. 성사된다면 관광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된다. 충북 단양도 최근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현장 실사를 받았다. 국내 세계지질공원은 2010년 제주를 필두로 경북 청송·광주 무등산·강원 한탄강·전북 서해안 5곳에 이른다. 경북 동해안이 내년 세계지질공원에 꼭 등재돼 세계적 명소로 자리매김하길 기원한다. 남은 기간 미흡한 점이 없는지 경북도와 해당 지자체가 긴장을 놓지 않고 준비해 주길 바란다.
예단하긴 이르지만 경북 동해안권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지정될 자격은 충분하다. 해당 지역마다 독특한 지질 자원을 품고 있어서다. 천연기념물인 성류굴은 길이가 870m에 이른다. 이곳에선 종유석·석순·석주·동굴진주 등 다양한 생성물을 볼 수 있다. 포항 호미곶~구룡포 해안은 계단 형태로 이어지는 해안단구인 점에서 이채롭다. 경주 양남 주상절리도 다른 나라에선 보기 드문 형태다. 부채 모양을 비롯해 위로 솟거나 비스듬히 누워있는 모양 등 다양한 주상절리를 감상할 수 있다.
경북 동해안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면 국내 여섯 번째다. 성사된다면 관광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된다. 충북 단양도 최근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현장 실사를 받았다. 국내 세계지질공원은 2010년 제주를 필두로 경북 청송·광주 무등산·강원 한탄강·전북 서해안 5곳에 이른다. 경북 동해안이 내년 세계지질공원에 꼭 등재돼 세계적 명소로 자리매김하길 기원한다. 남은 기간 미흡한 점이 없는지 경북도와 해당 지자체가 긴장을 놓지 않고 준비해 주길 바란다.
이창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