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대구기계부품연구원에서 대구 모빌리티 모터 소부장 특화단지 연계 융합혁신지원단 기업지원 사업 통합설명회가 개최됐다.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제공> |
전국 38개 공공 연구기관 협의체인 '융합혁신지원단'이 대구 미래모빌리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대구기계부품연구원(DMI)은 지난 16일 '대구 모빌리티 모터 소부장 특화단지' 연계 융합혁신지원단 기업지원 사업 통합설명회를 열었다. 지역 소부장 분야 기업·연구기관 65곳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설명회는 소부장 특화단지 사업 활성화를 발판으로 지역 미래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원단은 전국 소부장 특화단지를 순회하며 각 지역 주제에 맞춘 설명회를 열고 있다.
이날 대구 설명회는 대구 모빌리티 모터 소부장 특화단지 소개와 모빌리티 모터 성능평가인증센터' 구축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 센터는 모터 소재·부품 관련 기업의 초도생산 시제작 지원, 양산 신뢰성 검사 및 실증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다. 모터 전 주기 성능평가 인증 장비가 도입된다.
지원단이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함께 운영하는 기술지원, 신뢰성 기반 활용지원, 양산성 평가지원, 심화기술 사업에 대한 안내도 있었다. 과제당 최대 2억원의 연구개발비와 공공기관 소속 전문가 멘토링이 지원되는 심화기술 사업은 지난 4월 진행한 1차 공모에 10.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지원단은 내달 2일까지 기술지원사업 2차 공고를 진행 중이다.
지원단은 올해 새로 선보이는 '글로벌 밸류체인(GVC) 트랙'을 소개했다. 선정되면 3년간 최대 9억원을 지원받는다. 국내 기업-융합혁신지원단 소속 기관-해외기관(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3자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신청할 수 있다.
KIAT 관계자는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을 통한 기술력 향상, 글로벌 공급망 참여 및 해외시장 진출 촉진이 목적"이라며 "희망하는 국내 소부장 기업을 위해 수출에 필요한 제품 인증, 설계 변경을 지원한다"고 했다.
지원단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38개 공공연구기관 협의체다 .기업들에게 시제품 제작부터 사업화까지 원스톱 융합형 기술혁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송규호 DMI 원장은 "기술애로 지원에서 글로벌 협력 지원까지 지역 산업의 R&BD 허브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