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행정 통합 시계가 다시 돌아가기 시작했다. 행정안전부의 중재안에 대구시와 경북도가 모두 긍정적인 입장을 내면서 한때 무산 위기까지 갔던 행정통합은 막판 극적 반전을 이뤄낼 가능성이 커졌다.
14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11일 행안부로부터 TK 행정통합 중재안을 전달받은 대구시는 내부 논의를 거쳐 수용한다는 뜻을 행안부에 전달했다.
경북도 역시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행안부의 중재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중재안을 통해 TK 행정통합 추진의 전환점이 마련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통합과정에서 북부지역의 발전대책과 낙후지역의 균형발전 전략을 가장 중요한 핵심과제로 삼아 시·도민 모두 공감할 수 있는 통합 역사를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대구시에 이어 경북도도 중재안을 조건부 수용한다는 입장을 내면서 TK 행정통합은 급물살을 타게 됐다. 조만간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도지사, 이상민 행안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만나 범정부추진단 구성과 합의문 및 통합 로드맵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도출된 합의문을 바탕으로 대구시의회·경북도의회 의결과 국회 통과까지 단번에 이뤄낼 계획이다.
대구시는 내년 6월을 법안 국회 통과 시한으로 보고 있다. 2026년 7월 대구경북특별시 체제를 출범하려면 최소 준비 기간이 1년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는 △최종 합의안 마련 △중앙부처 협의 △시·도의회 동의 △특별법안 발의 등 향후 절차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행안부 중재안은 △대구광역시·경상북도 폐지 후 수도에 준하는 위상의 통합자치단체 출범 △정부의 권한 및 재정 이양, 시·군·자치구의 사무 유지 △대구와 경북의 청사 활용 및 관할구역 미설정 △수도에 준하는 위상의 부시장과 소방본부장의 직급 및 정수 △대구시·경북도 의회의 합동 의원총회 통한 의회 소재지 결정 △시·도의회 의견 청취 원칙과 주민 의견 수렴 노력 등을 담고 있다.
앞서 시·도 간 의견이 갈렸던 동부청사(포항) 문제는 결국 활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고, 시·군 권한 문제도 현재와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쟁점으로 떠올랐던 주민투표는 실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