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천극장, 옛 양조장, 영신정미소가 나란히 자리한다. 문 닫은 소리사는 50년 넘게 장사를 했고 영업 중인 식당은 35년 전통이다. 극장 맞은편에 시인의 집이 위치한다. |
![]() |
시조시인 이호우·이영도 남매의 생가. 감나무 아래에 생가 표석이 있다. 1910년경 지어진 집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금은 나무지저귀 향이 날 듯 새것의 모습이다. |
바뀌기직전에 다시 찾은 청도 유천이다.
시조시인 이호우·이영도 남매 출생지
1967년 건립 유천극장 2023년 재개관
日강점기 지은 정미소 여전히 '현역'
번성했던 옛 양조장·적산가옥도 남아
청도군, 유천길 정비 문화마을 조성
◆ 역이 있던 마을, 유천
![]() |
유천극장은 1967년에 건립되어 당시 청도읍의 청도극장·중앙극장 등과 어깨를 견줄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문 닫은 채로 있다가 2023년 12월에 재개관했다. |
![]() |
재현된 유천역, 오른쪽 건물은 보건지소다. 역은 원래 청도천 건너에 있었다. 21세기가 시작되면서 철길은 직선화되었고 '유천역'이란 이름도 사라졌다. |
◆ 유천문화마을
![]() |
사료판매소 간판이 걸린 건물은 원래 양조장이었고, 그 옆의 영신정미소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져 지금도 현역이다. |
마을의 동쪽 끝자락에 중앙고속도로가 남북으로 걸려 있다. 서쪽 끝인 청도천에는 물길 따라 국도 25호선이 굽이쳐 지나간다. 그 사이 동서로 뻗은 마을 안길이 유천길이다. 청도군은 유천길 600m 정도를 정비해 '유천문화마을'을 조성했다. 길을 닦고 시인의 생가를 복원하는 등의 인프라는 2024년 즈음 끝냈다. 지금은 좀 더 세밀한 작업들을 해나가고 있는 중이다. 단층의 붉은 벽돌집에 '로컬푸드 1호점 탄생 축하'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낮은 돌담으로 둘러싸인 텃밭은 신축 화장실 예정지다.
얼마 전까지 영업을 했다는 대양철공소에는 '유천대장간 설치 예정'이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맞은편 빈 점포는 농특산물 판매장이 예정되어 있고 로컬점빵 2호점이 리모델링 중이다. 번듯하게 남아 있는 적산가옥은 '유천다원 예정지'란다. 지금 공사 중이어서 백년 묵은 먼지들이 뻥 뚫린 창밖으로 풀풀 날린다. 장터가 있던 곳은 이제 주차장이다. 바로 옆 주점이었던 가게는 유천에서 유명한 식당이다. "밀양, 경산, 대구서 많이 와. 일주일 채소 값이 100만 원이야." "우린 대구서 밥 먹으러 왔어."
◆ 영화로운 시절의 3대장, 극장·양조장·정미소
유천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물은 유천극장이다. 1967년에 건립되었는데 당시 청도읍의 청도극장과 중앙극장 등과 어깨를 견줄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전성기에는 200여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규모가 컸지만 이후 TV보급으로 점차 관객이 줄어들다가 문 닫은 채로 오래 이 자리에 서 있었다. 안타깝게도 2008년 12월에 불이나 내부와 지붕이 타버렸지만 현재는 재건되어 간판까지 걸려 있다. 건물 외형은 옛날과 똑같아 보인다. 2023년 12월에 재개관해 22일과 23일 영화를 상영했다고 한다. 연말 크리스마스 즈음의 낭만이 눈앞에 그려진다. 월2회 정기상영을 하고 청도군내 공연단이나 주민합창단의 연습과 공연 장소로 활용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오늘 극장 문은 잠겨있고 일단의 안내는 보이지 않는다.
바로 옆 '사료판매소' 간판이 걸린 박공지붕 건물은 원래 양조장이었다. 유천이 교통의 요지다 보니 함께 번성한 것이 양조장이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부터 1940년까지 약 30년 동안 이곳 유천에는 총독부 허가를 받은 양조장이 6개나 있었다고 한다. 유천소주도 유명했는데 고려시대 때부터 빚었던 술이라 전한다. 유천주변 30리 안의 100여 호가 소주를 생산했고 전국적으로 거래해 한때 소주의 대명사로 불렸다. 해방이후 당국의 단속으로 생산이 위축되었고, 다만 허가받은 유천소주양조장이 설립되어 종업원 10여명이 하루 30말 정도를 생산했다고 한다. 그러다 1966년 '전국 양곡 양조 금지령'에 의해 유천소주는 지금의 '금복주'에 합병되어 쌀로 빚은 증류 소주의 명맥은 끊어지고 말았다. 해방 전후까지 이어져 오던 전통 술 제조 기법은 이제 불분명하고 다만 일제강점기 유천소주 양조법만 알려져 있다고.
또 바로 옆의 영신정미소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이다. 녹슨 함석지붕과 낡은 판자문이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놀라운 건 이 정미소가 여전히 현역이라는 점이다. 도정이 끝났는지 기계는 멈춰 있고 노인은 보이지 않는다. 두부를 파는 젊은이의 빨간 승용차가 구성진 외침을 흘리며 천천히 지나간다. 조그만 노란 버스가 저 끝에서 조용히 다가온다. 소리치던 남자는 여전히 동그랗게 앉아 있다. 무엇에도 영향 받지 않고, 고요하고, 괴팍하고, 쓸쓸하게. 머리 위에는 어제보다도 그제보다도 맑고 깨끗한 하늘이 소문처럼 퍼져 있고 담벼락에는 이호우의 시가 적혀 있다. '꽃이 피네 한 잎 한 잎 한 하늘이 열리고 있네.'
글·사진=류혜숙 여행칼럼니스트 archigoom@naver.com
■ 여행 Tip
청도읍에서 25번 국도를 타고 밀양방향으로 간다. 신도터널 지나 초현교차로에서 12시 방향으로 나가 직진, 옥산교차로에서 좌회전해 유천교를 건너면 내호리 표석이 보인다. 모텔 옆길로 들어가면 유천문화마을의 유천길 중간 정도 된다. 왼쪽으로 가면 유천역, 오른쪽으로 가면 유천복합체육센터가 있고 두 곳 모두에 넉넉한 주차장이 있다. 유천역 가기 전 금나무식당 옆 옛 장터자리에도 작은 규모의 주차장이 있다. 모두 무료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