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이 17일 정리됨에 따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을 따라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시점과 메시지, 탈당 문제에 대한 김 후보의 태도 등을 고려하면 중도 표심 변화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의 탈당과 관련해 "이재명 민주당과의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할 수 있는 중요한 반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식 선거운동 첫 일 주일 동안 당의 발목을 잡았던 윤 전 대통령 거취 문제가 '자진 탈당'으로 해소됐다고 보고,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공략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지도부에서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공개적으로 자진 탈당을 권유하고, 내부에서 강제 출당 등의 요구가 분출된 끝에 윤 전 대통령의 탈당 결단이 이뤄진 일련의 과정으로 이른바 '탄핵의 강'은 건넜다고 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려는 당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줬고, 실제 결정은 윤 전 대통령이 내리면서 중도층과 지지층 모두에 당을 지지할 명분을 줬다는 측면에서다.
당 관계자는 "김 비대위원장이 총대를 메고 윤 전 대통령 거취 문제를 제기했고,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의 판단으로 정치적 책임을 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 탈당과는 별개로 취임 기자회견에서 밝힌 대법원·헌법재판소 판결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 당적을 제한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이 중도층 표심 공략에 기대만큼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우선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시점이 그 이유로 꼽힌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한 지 엿새째에 이뤄졌다. 공식 선거 운동에 돌입하자마자 윤 전 대통령 출당·탈당 여부를 놓고 내부 이견이 분출돼왔던 것을 고려하면 이제 와서 중도층의 마음을 되돌리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메시지'를 문제 삼는 목소리도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탈당 의사를 밝힌 페이스북 글에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의 장본인으로서 국민을 향한 사과나 반성의 메시지를 전혀 담지 않았다. 김 후보가 끝까지 윤 전 대통령의 탈당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지 않은 데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한 재선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시기도 너무 늦었고, 메시지도 지지층만을 향해 있어 이미 떠난 중도층이 돌아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우려했다.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